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약용버섯 이야기(165): 가랑잎밀버섯가랑잎밀버섯은 그 맛이 쓰기 때문에 식용할 수는 없어도 중요한 활성성분과 함께 항균작용과 항종양 작용을 가지고 있다.
약용버섯 이야기(165): 가랑잎밀버섯

 
가랑잎밀버섯 Gymnopus peronatus (Bolton) Antonín, Halling & Noordel.
=Collybia peronata (Bolton) P. Kumm. =Collybia urens (Bull.) P. Kumm
=Marasmius urens (Bull.) Fr.  영어이름 Wood Woollyfoot
사진출처: Wikimedia Commons File:Brennende Rübling Gymnopus peronatus.jpg
갓: 2.5-6cm 크기에 반원 모양에서 둥근산 모양을 거쳐 편평하게 되고 흔히 갓 중이 오목하게 들어가 있고 갓 가장자리가 불규칙하게 째진다. 갓 표면은 반들반들하고 때때로 홈이 패여 방사상으로 주름이 진다. 황갈색에서 약간 분홍색 섞인 갈색으로 갓 가장자리의 색이 엷어진다. 흡습성이라 물기가 없으면 색이 엷게 된다. 조직(살)은 흰색에서 담황색이다. 질기고 냄새는 순하고 맛은 쓰고 매운맛을 가지고 있다.

대: 3-7.5cm길이에 0.3-0.8cm 굵기를 가지고 대 표면은 매끄럽거나 대 꼭대기에 솜털모양이고 아래로 갈수록 섬유상 줄무늬가 있고 흔히 아래로 갈수록 굵어지고 색깔은 황토색에서 누르스름한 색이고 흔히 기부로 갈수록 오렌지 갈색인데 담황갈색에서 누르스름한 털이 위로 치켜 올려 덮여 있는 것이 이 버섯의 특징이다.

주름살은 대에서 떨어진 형이고 성기고 때때로 대 근방에서 주름살이 갈라진다.처음에 엷은 누르스름한 색이다가 갈색으로 변하고 가장지리에 허옇고 미세한 과립상 털이 있다.

식용여부: hydrocyanic acid라는 독성이 있어 식용할 수 없으며 어차피 매워서 먹을 수 없다.
발생: 여름에서 가을까지 숲속나무 찌꺼기 많은 곳이나 숲 가장자리 낙엽이나 부엽토 위에 무리를 이루고 돋는다,
 
주름살 모습과 대 밑동의 털 모습
사진출처: File:Gymnopus.peronatus2.-.lindsey.jpg commons.wikimedia.org
가랑잎밀버섯의 활성성분(Bioactive compounds)

가랑잎밀버섯 자실체의 추출물로부터 페로나틴(peronatin) A와 B 라고하는 두 종류의 3-indolinone dimers 가 분리되었다. 부분입체(이성질체 diastereoisomeric) 성분은 가랑잎밀버섯의 자실체에 상처를 내었을 때 형성되는데 인돌 (저온에서 녹는 무색 결정의 화합물; 향료·시약용) 전구체(前驅體) 효소의 가수분해와 인독실(indoxyl radical)의 산화적 짝지음에서 생기는 것이다. (Pang and Sterner, 1994). 이들 인돌 성분의 합성과 이성질화에 대한 더 깊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Stachel et al., 1997).

가랑잎밀버섯 클로로포름-에타몰 추출물에서 세스퀴테르펜 데옥시콜리볼리돌(sesquiterpene deoxycollybolidol (3β-(3-furyl)-3,4,4aα,8β,9,9aα- hexahydro- 5-β-methyl-5,8-methano-lH-pyrano[3,4-d]oxepin- l,6(5H)-dione)이 처음으로 동정되었고(Fogedal and Norberg, 1986), 곧 뒤이어 그 존재가 확인되었다. (Castronovo et al., 2001).
 
엷은색 3송이 가랑잎밀버섯    사진출처 Wikipedia, en.wikipedia.org
 가랑잎버섯의 항균작용(Antibacterial activity)

가랑잎밀버섯은 질병의 원인이 되는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에 대한 강한 항균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Öblom and Wallmark, unpublished). 이러한 가랑잎밀버섯이 지닌 항균작용에 대한 연구는 뒤에 더 정교한 연구로 확대되었고 이 연구조사를 위하여 사용한 박테리아는 황색포도상구균이었다.(Öblom, 1951),
 
항종양 효과(Antitumor effects)

가랑잎밀버섯의 균사체 배양으로부터 추출한 다당류 300 mg/kg을 흰쥐 복강내 주입 결과 Sarcoma 180 암과 Ehrlich 복수암 세포 증식에 대한 60%의 억제율을 보여주었다. (Ohtsuka et al., 1973).    
 
자료출처:
https://healing-mushrooms.net/archives/gymnopus-peronatus.html
 
References
1. Pang ZJ, Sterner O.The isolation of 2,2′-biindoline-3,3′-diones from injured fruit bodies of Collybia peronata and Tricholoma scalpturatum. J Nat Prod 1994 57(6):852-7.

2. Stachel SJ, Nilges M, VanVranken DL. Synthesis and isomerization of biindolinones from Collybia peronata and Tricholoma scalpturatum. J Org Chem. 1997 62(14):4756-62.

3. Fogedal M, Norberg T. Deoxycollybolidol, a sesquiterpene from Collybia peronata. Phytochemistry. 1986 25(11):2661-3.

4. Castronovo F, Clericuzio M, Toma L, Vidari G. Fungal metabolites. Part 45: The sesquiterpenes of Collybia maculata and Collybia peronata. Tetrahedron. 2001 57(14):2791-8.

5. Öblom K. Effects of nutrition of Marasmius urens upon the production of antibiotic substances. Nature 1950 166(4231): 950-1.

Öblom K. Nutritional effects upon the antibiotic production of (Bull) Fr .1. The influence of organic acids. Physiologia Plantarum 1951 4(3): 563-73.

6. Ohtsuka S, Ueno S, Yoshikumi C, Hirose F, Ohmura Y, Wada T, Fujii T, Takahashi E. Polysaccharides having an anticarcinogenic effect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m from species of Basidiomycetes. UK Patent 1331513, 26 September 1973.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9.10.08 19:3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랑잎밀버섯#항균작용#항종양작용#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