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유기농업
함양지역이 만들어 낸 새로운 쌀겨농법 1경남 함양의 정국상님

www.jadam.kr 2004-03-04 [ 조 ]

한국에 대중적으로 보급되고 있는 친환경 벼농사 재배법을 보면 우렁이 농법, 오리농법, 자운영농법, 쌀겨농법을 손꼽을 수 있다. 이런 다양한 농법들이 나오는 이유는 수도작에 있어 제초작업이 가장 큰 문제이자 난제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두 제초를 어떻게 손쉽게 할 수 있는가에 기술의 초점이 맞춰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존 농법들의 문제와 한계
우렁이 농법은 확실한 제초효과를 인정받고 있지만 해마다 우렁이를 넣어 주어야 하는 비용 및 관리의 문제와 수입 우렁이로 인한 생태계 교란의 문제를 남기고 있고, 오리농법은 오리의 잡식성으로 논 토양 위의 소동물이 거의 전멸한다는 생태적 문제와 분뇨로 인한 악취발생, 미질의 저하, 오리 먹이의 상시적 투입으로 노동시간 증가 등이 문제를 가지고 있다.

반면에 쌀겨농법은 기존의 농법들이 가지고 있었던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데서 최근 들어 친환경 벼 재배법의 대명사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 쌀겨농법 또한 제초효과의 완벽성에 약간의 기술적 한계가 있으며 쌀포시기와 방법에서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모를 심고 나서 바로 쌀겨를 뿌리는 과정이 좀처럼 수월하지 않다는 점이다. 이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기 위해서 쌀겨를 팰랫화 하는 시도가 추진되고 있기도 하다.

기존에 쌀겨농법의 기술적 골간은 모심기 전에 300평을 기준하여 200kg 내외의 쌀겨를 뿌리고 모를 심은 직후 100kg내외의 쌀겨를 뿌리고 심수관리를 하는 방법이다.

함양지역에서 새롭게 정착되는 쌀겨농법
그러나 함양농협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쌀겨농법은 기존 농법의 원리를 이용하여 보다 편리하고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재배기술로 인정되어 쌀겨농법을 대중화시키는 데 의미있는 기여를 하고 있다.

다음은 함양지역의 무농약 벼재배에 있어서 모범적인 성과를 올리고 있는 정국상님의 생산과정을 정리한 글이다.

정국상님의 재배방법의 가장 큰 특징은 겨울내 호밀이나 보리의 재배로 충분한 유기물을 포장에 투입한다는 것과 모심기 10일전에 쌀겨를 1회만 살포 한다는 것, 적절한 배수관리로 분얼수를 촉진하고 수확량을 늘린다는 것, 그리고 칡이나 아카시아 천혜녹즙과 바닷물을 이용한 엽면시비로 미질을 좋게, 오래 유지하게 한다는 것이다.

www.jadam.kr 2004-03-04 [ 조 ]
농막에서 가족과

겨울 동안 호밀재배로 충분한 유기질 거름 투입
정국상님은 벼베기 10일전쯤에 호밀이나 보리를 살포한다. 컴바인으로 탈곡을 할 때 쯤은 호밀이 발아되어 수 센치 정도 자라게 된다. 탈곡과 동시에 볏짚을 잘라 호밀 순 위에 깔아 준다.

호밀을 선택하는 이유는 호밀이 뿌리가 토양 2m까지 파고 들어간다는 것과 지상부 뿐만아니고 지하부에까지 유기물이 생산이 많이 된다는 장점을 이용한 것이다.

논의 배수가 심한 경우 호밀을 3년 정도만 키우고 토양에 넣어주면 배수차단에 상당한 효과를 보기도 한다.

다음 해 봄에 호밀이 완전히 패기전, 열매순이 1~2개 정도 올라오는 시기에 로타리를 처서 토양의 흙과 섞이도록 한다. 이 시기를 지나치면 호밀이 누렇게 변하고 억세지면서 토양에서 발효가 신속히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로타리를 친 후 물을 충분히 대고 토착미생물과 바닷물을 살포하여 호밀의 발효를 촉진시킨다. 필요에 따라 생선아미노산을 공급하여 질소함량을 높여 줘 발효과정을 더욱 촉진 시킬수 도 있다. 물이 붉게 변해가면서 부글부글거리면서 발효가 일어나게 된다.

이 시기가 모내기 한 달 전쯤 되는데 약 한달 간 호밀이 완전히 분해되어 벼 생육에 좋은 최상의 거름이 되는 것이다. 함양지역의 옛 농사 방법은 야생초에 인분을 부어 발효시킨 거름을 논에 살포하는 것이 었는데 천연유기질인 호밀이나 보리를 이용하는 것도 그와 비슷한 좋은 결과를 가져준다고 정국상님은 확신하고 있었다.

만일 벼가 쓸어졌으면 수확을 먼저하고 볏짚을 썰어 깔고 호밀씨를 뿌리고 고랑을 타 흙을 덮는 방법으로 한다.

쌀겨 살포는 모내기 10일전에 한번 만
정국상님은 대략 모내기 한달 전쯤에 호밀을 로타리쳐 놓고 물을 대고 모내기 10일전쯤에 정지작업을 하고 쌀겨를 300평당 200kg내외를 쌀포한다. 이앙기에 쌀겨 살포기를 부착하여 살포하기 때문에 손쉽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쌀겨 무게에 1/1000 정도의 천일염을 함께 섞어 살포하면 발효 촉진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

논에 따라 상황의 차이는 좀 있겠지만 이때 쌀겨의 양을 230kg까지 늘리게 되면 제초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이 정국상님의 실험에서 확인이 되어서 예년에는 중간 제초를 위해 우렁이를 투입했는데 이제는 우렁이 없이도 충분히 제초가 가능하다고 한다.

이런 방식으로 85%정도의 풀은 사전에 억제 할 수 있다고 본다.

늪 환경에서 잘 서식하는 풀들은 근본적으로 억제할 수 없고 또 억제할 이유도 없다는 것이 정국상씨의 생각이다. 단지 피의 경우는 밭에 따라 완벽한 제초에 다소 차이가 발생한다.

피을 근본적으로 억제 하기 위해서는 들어오는 물을 모기장으로 걸러 들어가게 하는 것이 유효한데 이것도 잘 안되면 간간히 뽑아 주는 수 밖에 없다.

쌀겨농법을 시작하여 3년간은 다소 풀로 인해 고생할 각오를 해야 한다. 그러나 3년이 지나면서부터는 제초에 있어서는 상당히 안정감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www.jadam.kr 2004-03-04 [ 조 ]

묘를 성묘로 잘 키워야
보통 35일 만에 묘를 내지만 정국상님은 45일 정도 키우는 데 중간 중간에 목초액 엽면시비를 두 차례 하는데 이렇게 간단한 처리로서 건강한 묘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일반적으로 6~7cm 정도의 묘를 심지만 45일 키우면 12cm 내외의 성묘가 된다.

이것을 한번에 7개 포기 내외씩 묘를 심는다. 묘의 숫자를 적게 할수록 오히려 분얼수가 늘어나고 수확량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복의 염려도 없다는 것이다.

묘를 심고는 10일간 심수관리에 들어가는데 심고 물을 가득대주고 물이 빠져 표면이 약간 들어나는 3일후에 다시, 이렇게 2~3차례 한 후에 10일 후부터 40일 사이까지 심수관리를 지속적으로 한다.

어느정도 묘의 활착이 진행되었을 시점인 묘심은 후 10~15일 사이에 깸묵과 흙설탕 1:1에을 막걸리를 넣고 수일 발효시킨 것을 살짝 뿌려줘 묘의 생육을 촉진시킨다.

분얼을 촉진하기 위해서 1주 정도 물을 뺀다
정국상님의 논의 경우 평균적으로 분얼 수를 세어보니 28~30정도가 되는데 12포기 이상을 심은 인근 다른 논의 경우 분얼 수가 단 17개 내외에 불과하였다. 분얼 수의 차이가 수확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얼을 촉진하는 재배기술이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사실 정국상님의 논은 온통 이삭으로 꽉 찬 느낌이다. 실제 추청벼를 기준하여 쌀로 300평 540kg정도를 생산하고 있었다.

그 차이의 비결은 묘 심은 지 40일 이후 정도되는 분얼시기에 1주간 정도 물을 빼주는 것이라고 설명한다.

<계속>

조영상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4.03.04 17:5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국상#수도작

icon관련키워드기사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1
  • ☆해촌☆ 2004-09-14 05:51:06

    쌀겨농법배우고싶네요
    정국상님 안녕하십니까.
    저는여수에서 소농을하고있는 서정술이라합니다.
    그런데몇년전부터 비료와농약을 안쓰고농사를짓고싶고 옛날방식
    대로농사를짓고싶얶읍니다.
    그래서금년에 논도한2000평정도 구입했읍니다.
    처음으로 구입한논이라 토양분석을하여보니 너무잘못되어 있었
    읍니다. 그래금년가을부터는 논도좀 골르고 보리파종을 안하고
    싶은데 선생님말씀 들어보니까 호밀과보리를갈면 땅심을높인다하니
    마음이달라지네요. 그런데호밀은 어디서 구할수있읍니까.
    구할수있는 연락처를 좀 가르쳐주십시요.
    정선생님! 이양40일후에분열을 좋게하기위하여 중간낙수1주일을
    하신다는 말씀이지요.
    정선생님 앞으로도 많은메일을 보내고싶은데 괜 찮을런지요.
    앞으로도 모르면물어보렵니다
    저도금년에 처음으로쌀겨농법을 시도해봐는데 제초문제로
    엄청 고생하였읍니다.
    고생은고생대로 인건비는인건비대로 고생많이했읍니다
    앞으로많은 부탁드리렵니다
    초면 많은부탁드려서 죄송합니다
    항상 건강하십시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