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소로리 볍씨. 지난 1994년 청주 오창과학산업단지 건설중 발굴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유물로 인류의 벼농사 기원은 한국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유물. http://bit.ly/2DloyLv |
야생종인 경우는 한 이삭에서 채취한 종자라고 해도 급변하는 자연환경 아래 살아남기 위해서 발아 시기가 모두 달랐다. 여건이 좋지 않으면 다음 해라도 아니면 그다음 해에라도 발아할 수 있도록 종자가 스스로 판단하여 발아시기를 조절할 수 있었다. 종을 지키기 위해서 온도와 빛을 느끼고 판단할 수 있는 감각이 예민하게 발달되어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지금의 작물은 그렇게 야생에서 생존하기 위한 기능들이 퇴화하였다. 의도적으로 뿌리고 거두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야생의 씨앗과 식물들도 점차 일괄적인 발아와 수확에 맞춰 적응하고 변화했다. 또한, 인간이 식용하는 부위가 야생종보다 훨씬 거대해지는 진화를 거듭했다. 야생종의 뿌리채소인 무나 고구마는 지하부가 크지 않았지만, 인간이 식용을 위해 재배하면서부터 지하부가 커지기 시작해서 지금은 거의 수십 배나 비대해져 있는 것과 같은 경우다.[1]
선사시대의 벽화. http://www.kamat.com/kalranga/rockpain/ |
던져진 열매에서 다음 해에 발아를 하고 거기서 얻어진 열매를 따 먹고, 또 남겨진 열매에서 땅에 떨어진 씨앗들을 관찰하게 되면서, 크고 빛깔이 좋아 보이는 씨앗을 주워 보관하는 식으로 선별이 이루어졌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인간은 선별된 씨앗을 파종하고 열매를 거두는 행위들을 학습할 수 있었고, 야생식물들은 한정된 공간과 시간에 같은 종자끼리 발아 경쟁을 통해 좀 더 빨리 발아하고 좀 더 강하게 성장하는 변화가 일어났다.
씨앗의 선별과 파종이라는 행동을 습득한 인류는 서서히 농경사회로 접어들게 되었다. 이시기는 지구가 갑자기 따뜻해지면서 다양한 생명체의 활동이 왕성해졌던, 신석기 시대로 추정된다. 이는 인류역사상 가장 큰 의미가 있는 변화로, 농업혁명 또는 신석기 혁명으로 일컬어지며 앨빈 토플러는 이를 제1의 물결이라고 표현하였다.
이집트 벽화에 나타난 가축을 길들여 농사짓는 모습. http://sojoong.joins.com/archives/802 |
대천리 벼껍질 http://bit.ly/2u0ob9Y |
대천리 집터유적 http://bit.ly/2u0ob9Y |
충북 청원군 옥산면 소로리에서 출토된 볍씨는 고대벼 18톨, 유사벼 41톨 등 모두 59톨로 확인됐고, 볍씨뿐만이 아니라 이 유적 일대에는 찍개, 긁개, 홈날, 몸돌, 격지 등의 구석기 유물이 넓은 범위에 걸쳐 수습됐다. 출토된 볍씨는 야생 벼가 아닌 재배 벼였다. 고대 우리나라에는 야생 벼가 없었기 때문에 분명한 경작의 흔적이었다.
서울대학교의 방사선탄소연대측정 실험과 미국 지오크론시험소 유전자 분석결과,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1만 3000년~1만 5000년 전의 볍씨로 밝혀졌다. 지금까지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왔던 중국 후난(湖南)성 옥천암 동굴에서 출토된 볍씨보다 2천~4천년이나 앞선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로리볍씨 http://bit.ly/2pzJzNU |
이에 대해 국립 작물시험장 춘천출장소에서 냉해실험을 통해 벼가 자랄 수 있는 온도를 실험한 결과, 따뜻한 기후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진 벼가 기후적응을 잘하는 식물로 밝혀져 1만 5000년 전 학설이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또 볍씨를 분석한 교수들의 연구 결과, 소로리 볍씨는 재배 벼 특징을 갖고 있었다. 2003년도 필리핀에서 열린 ≪세계미유전학회≫에서 소로리 볍씨가 세계 최초의 볍씨라는 것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4]
[1] 재배식물의 기원(다나카 마사타케)
[2] http://sojoong.joins.com/archives/802
[3] 농업으로 보는 한국통사(김용섭)
[4] 조선pub (2015.11.12.)
이경희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3.13 16:2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농사#작물#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