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버섯 이야기
먼지버섯의 비밀: 야생버섯의 신비(196)먼자버섯이 사막에서도 돋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별 모양의 방사조직이 습도계 노릇을 하기 때문이다.

먼지버섯의 비밀: 야생버섯의 신비(196)

 

먼지버섯 Astraeus hygrometricus(Pers.)MorganGeastrummhygrometricummPerss. 영어이름 BarometerEarthstar사진출처: Wikimedia commons

먼지버섯 주변에 솔가리가 많은 것을 보아서 이 버섯은 소나무와 공생관계에 있는 균근균인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물론 참나무와 공생관계에 있기도 하다.
 

먼지버섯 유균 사진 제공: 파주 우쿠리 이성국님. 귀한 사진 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먼지버섯 유균 사진 제공: 파주 우쿠리 이성국님. 귀한 사진 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사막에서도 버섯이 돋을까? 놀랍게도 사막에 돋는 버섯이 여럿 된다고 한다. 그 가운데서도 땅 위의 별이라고 할 수 있는 별 모양의 습도계를 가진 버섯이 있다. 이 버섯은 꼭 별 모양으로 생겼는데 그 별 모양의 방사조직(ray) 한 가운데 동그란 포자주머니를 가지고 있어서 그 안에 포자가루가 많이 들어있다. 건드리거나 빗방울이 떨어지면서 포자 주머니를 치면 먼지가 나는 것처럼 포자가루가 펄펄 날아오른다. 그래서 이 버섯의 한국 이름은 “먼지버섯”이고 영어이름은 땅에서 돋은 별같이 생겼다 하여 “Earthstar”라고 부른다.

그런데 이 버섯이 사막에서도 돋을 수 있는 이유는 바로 별 모양의 방사조직이 습도계 노릇을 하기 때문이다. 사막에 비가 오지 않을 때는 그 방사조직을 오므려서 가운데에 있는 포자주머니를 감싸면서 보호하다가 비가 오면 즉시 열어서 빗방울에 튕긴 포자를 방출한다. 비가 오지 않으면 일 년이고 이 년이고 오므린 채로 기다린다. 미국에서 이 버섯은 특히 사막이 많은 캘리포니아 서남부 지방에 많이 돋는다고 한다.

 

먼지버섯이 모래땅 위에 돋아 있다.사진출처: wikimedia commons

먼지버섯의 처음 학명은 방귀버섯 속 Geastrum hygrometricum이었는데 그 속이 바뀌어 Astraeus hygrometricus라고 부르게 되었다. 속명 Astraeus의 뜻은 “별 모양”이라는 뜻이다. 종명 hygrometricum 또는 hygrometricus란 “습도 또는 습기를 측정하는”이라는 뜻이다.

미국 동부 지역의 경우 먼지버섯은 늦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숲속 땅 위에, 특히 참나무와 소나무가 있는 개울가, 길가, 그리고 흔히 모래땅이나 파헤친 토양 주변에 단생 또는 여기저기 그룹으로 산생하는 균근균이다.

종명이나 영어 이름 그대로 한때 민간에서 일기 예보에 사용하던 버섯이다. 그 이유는 앞에서 말한 대로 성숙하면서 이 버섯의 외피가 별 모양의 외피조각(裂片)으로 갈라지는데 그 외피조각이 건조할 때는 오므라들어 포자주머니를 감싸고 있다가 습하거나 비가 오면 곧게 다시 펴지면서 포자를 방출하기 때문이다. 전통 의학에서 이 먼지버섯의 말린 포자가루를 지혈에 사용하고 부기 치료나 몸 안의 열을 내리는 데 사용하기도 하였다.

먼지버섯. 사진출처: wikimedia commons
먼지버섯은 항종양 성분으로 알려진 여러 베타글루칸을 포함하여 여러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에르고스타 스테로이드뿐만 아니라 아스트라히그롤(astrahygrol), 3-epi-astrahygrol 및 아스트라히그논(astrahygnon)이라고 하는 트리터페네스(triterpenes) 3종 등의 화학성분을 가지고 있다. 연구한 바에 따르면 먼지버섯으로부터 정제한 다당류는 산화질소(nitric oxide)와 항(抗) 종양 효과를 발휘하는 활성 액성(液性) 인자인 시토킨(cytokine) 산출을 증진하는 성분이다. 나아가서 항종양 작용을 가진 헤테로글루칸(heteroglucan) 성분도 발견되었는데 달톤의 림프종세포(Dalton's lymphoma cell)에 대한 종양 증식 억제와 세포자멸(apoptosis)을 유도하는 성분이다.
또 먼지버섯에는 쥐 실험에서 면역 활성 성분을 산출하여 대식세포 활성화와 함께 면역체계를 활성화 하는 성분도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여기 대식세포 (大食細胞 macrophage)라 함은 동물 체내 모든 조직에 분포하여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이다. 침입한 세균 등을 잡아서 소화하여, 그에 대항하는 면역정보를 림프구에 전달한다고 한다.

 
먼지버섯은 사막 모래 위에도 돋지만, 숲속 땅 위에도 돋는다.사진출처: wikimedia commons
먼지버섯 자실체의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높고 실험실 테스트에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쥐에 관한 연구는 간보호 능력을 입증하였다.
그 밖에도 박완희 선생에 따르면 먼지버섯에는 지방산 8종, 마니톨, 글리세롤, 프룩토스, 갈락토스, 유리당 3종, 균당 1종이 들어 있고 약리작용으로 피를 멈추게 하는 지혈 작용, 염증을 제거하는 소염 작용이 있다. 적응증으로 외상 출혈과 동창수포(凍瘡水泡)라고 한다.


한국의 신종 먼지버섯,

선비먼지버섯 Astraeus ryoocheoninii

참고자료:

* 영어 위키백과사전, Astraeus hygrometricus에 대한 것

https://en.wikipedia.org/wiki/Astraeus_hygrometricus

 

* 참고도감, Roody, William C. 2003. Mushrooms of West Virginia and the Central Appalachians.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Lexington, KY. p 438.

 

* 약용버섯도감:

Rogers, Robert. 2011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North Atlantic Press, Berkeley, Calif. pp.185-186.

 

박완희, 이호득 공저. 2003(재판). 한국 약용버섯도감, 서울: 교학사. 615쪽

 

* DMZ의 숨은 보석 '선비먼지버섯' 국제적 신종 등록|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170602064200063

 

* DMZ서 발견된 '희귀' 선비먼지버섯, 전 세계에 존재를 알리다| 그린포스트 코리아

http://www.greenpos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77298

선비먼지버섯 사진출처: 한국 산림청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25.01.15 06:11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