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이는 북미와 아시아에서 나지만 북반구 서부 유럽에는 없다고 한다. 미주 대륙에서는 북미 북쪽 지방과 미국 동북부지역에서 많이 발견된다. 보통 Umbilicaria muehlenbergii(Ach.) Tuck =Gyrophora muehlenbergii Ach 영어이름 Plated Rock Tripe 또는 Lesser Rocktripe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Erik Acharius가 처음 설명하고 뒤에 Edward Tuckerman이 현재의 학명을 명명하였다고 한다. 본래 석이는 버섯이 아니고 바위나 바위 절벽 위에 돋는 잎처럼 생긴 지의류(地衣類 litchen)이다. 한국이나 일본에서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하는 귀하고 값비싼 석이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나는 것으로 그 학명이 Umbilicaria esculenta(Miyoshi)Minks이다. 일본에서는 이와다께(Iwatake)라 하고 한국에서는 석이라 하는데 문자 그대로 바위에서 돋는 귀를 뜻한다.
|
이 글에서 볼 수 있는 석이 사진들은 북미에서 돋는 여러 종류의 석이들 가운데 특히 Umbilicaria mammulata(Ach.)Tuck. 영어이름 Smooth Rock Tripe라고 부르는 것이다. 이 석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석이로 보통 4-15cm 크기를 가졌는데 가장 큰 것은 미국 테네시 주 스모키 마운틴에서 발견된 것으로 그 크기가 63cm였다고 한다. 처음에 싱싱하게 돋았을 때는 초록색이지만 가을이 되면 그 겉 표면이 적갈색에서 회갈색이 되고 그 밑 부분은 새까만 색이다. 이 석이도 숲속이나 산에 커다란 바위 위에나 바위 절벽에서 발견된다. 이 석이가 좋아하는 바위는 산성암, 사암, 화강암, 석영(石英) 등이다. 공기와 수질에 민감하고 조건이 좋으면 접시만한 크기의 석이도 많이 볼 수 있다고 한다. 이 글을 쓰는 사람이 사는 지역 산 바위에 상당히 많이 돋는 편이고 높은 곳에 있지 않아 채취하기도 아주 수월하다.
|
북미에서 돋는 여러 종류의 석이는 일반적으로 Rock Tripe라는 이름으로 부르고, 대체로 잘 조리하여 식용할 수 있다고 한다. 미국 초기에 북미 탐험가들이 식량이 떨어졌을 때 석이를 식품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여러 북미 원주민 부족들도 석이를 식재료로 사용해 왔다. 캐나다 서스캐처원(Saskatcherwan) 지역에 흩어져 살던 북미 원주민들 가운데 크리족(Cree)은 생선국을 걸쭉하게 만들기 위하여 석이를 사용하였다. 석이를 잘게 부수어 끓는 물을 부어 5-10분간 불린 다음 생선국에 넣는다고 한다. 이 석이 생선국은 병약한 사람들에게 자양분이 된다고 믿는다. 또 캐나다 서북부 Hudson만 서부에 사는 북미 원주민 가운데 한 부족인 치페와이언(Chipewyan) 부족도 석이를 식량자원으로 사용하여 역시 국에 넣어 끓임으로써 신맛과 버섯 향미를 더하였다고 한다. 이 석이국은 썰매를 끄는 개들에게도 먹여 살찌우기도 하였다고 한다. 흔히 석이를 끓는 물에 삶아서 비위에 거슬리는 맛이나 쓴맛을 내는 산성을 제거하였다. 때때로 재를 함께 넣고 삶아서 산성을 중화하기도 하고 베이킹 소다를 넣어 석이를 부드럽고 소화하기 쉽게 만든다고 한다.
|
우리 한국에서도 석이는 귀한 식재료로 널리 알려져 있고 또 귀한 약재로 여기고 있기 때문에 그 효능에 대하여 많이 알고 있다. 그래서 여기서는 재론하지 않고 다만 서양에 알려진 석이의 효능과 사용에 대해서만 조금 언급하려고 한다.
|
석이의 전통 의학적 사용
앞서 말한 체페와이언 부족 사람들은 석이를 불에 태워 그 재를 가지고 끓여 만든 시럽을 촌충 구충에 사용하였다고 한다. 캐나다 북부 및 그린란드와 알래스카 일부 지역에 사는 이뉴잇족(Inuit)은 상처를 씻어내기 위하여 피를 흡수하는 데 석이를 사용하였고 또 종기(부스럼) 치료에도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들은 석이를 식용하지는 않았으나 석이 삶은 물 한 숟갈은 그 어떤 병에도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석이 달임물은 구강 궤양이나 피나는 잇몸 치료를 위하여 입가심 물로 사용할 수 있다. 중국에서도 석이를 지혈제 또는 강장제로 사용한다고 한다.
|
석이의 현대 의학적 사용
석이의 화학성분으로 Gyrophoric acid라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석이에서 발견되는 다당류는 실험실 실험에서 HIV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일본에서 연구한 바에 따르면 석이로부터 추출한 황산염(sulfate)이 시험관 안에서 HIV-1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GE-3-S 복합체는 덱스트란 황산염(dextran sulfate)과 간장 안에서 혈액 응고를 방지해주는 헤파린(heparin)이라는 두 물질이 HIV 바이러스가 T4 세포 표면에 붙는 것을 방지해 주는 것처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GE-3-S 성분은 실험용 쥐에게 전혀 독성이 없는 반면 이 부분적으로 아세틸기를 함유한 푸스툴란 황산염은 실험용 쥐에게 약한 독성 반응을 보여준다고 한다.
석이는 그람 양성균에 대한 억제 작용이 있다. 뿐만 아니라 1999년 Naruri가 연구한 것을 보면 석이에 들어 있는 이세틸기를 가진 B-1-6 글루칸의 일종인 푸스툴란과 흡사한 물질이 sarcoma 1809암에 대한 항암작용을 보여주고 있다.
|
천연염색에 석이 이용
스코트랜드에서는 석이를 가지고 타탄(tartan) 무늬 직물에 밝은 빨간색 물감을 들이는 데 사용하고 있다. 또 소변을 이용하여 처리하면 자주색 염색이 가능하다고 한다. 다른 여러 종류의 석이를 가지고 털실에 초록색이나 보라색 염색도 할 수 있다고 한다. @
|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450-451.
그 밖의 인터넷 검색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가운데 Umbilicaria mammulata
Rock Tripe 항목 참고. 특히 Umbilicaria of North America, Taxonomy and Checklist from Esslinger, December, 2012 참고.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4.11.11 06:5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미국#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