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갈색날개매미충 성충 |
피해가 심한 경우 사과원에서는 폐원을 하고 타작목으로 전환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논문상으로는 62과 138종으로 기주식물이 기록되어 있으나 필자가 사진촬영 하면서 관찰 한 바로는 모든 식물군 즉 과수류, 수목류(침엽수 제외)를 포함하고 있고, 심지어는 채소류, 초본식물, 주목 등까지 피해를 주는 것을 확인 하였다.
국가적으로 지속적인 관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밀도가 떨어지지 않고 있으니, 5월초부터 주변식물을 잘 관찰하여 대처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생각 된다.
갈색날개매미충
노린재목 큰날개매미충과
О 학명 : Pochazia shantungensis Chou & Lu
О 크기 : 몸길이 성충 8.2~8.7mm, 약충 4.5mm
О 기주 : 사과, 밤나무, 포도, 산수유, 블루베리, 감나무, 과수 및 두릅나무, 때죽나무, 굴피나무, 누리장나무 등 수목류 대부분의 식물
О 분포 : 한국, 중국 등
![]() |
갈색날개매미충 갓 우화 한 성충 및 용각 |
![]() |
갈색날개매미충 종령약충 † 타 날개매미충과는 달리 3령이후에 등면에 검은반점이 관찰 된다. |
![]() |
갈색날개매미충 약충(3령) |
![]() |
갈색날개매미충 어린 약충(1령) † 5월초순~5월중순경 월동난에서 깨어나 잎 뒷면에 집단으로 모여 가해를 시작 한다. |
성충이 가지에 산란해 가지가 말라 죽으며, 성충과 약충이 잎과 어린 가지, 과실에서 수액을 빨아 먹고, 부생성 그을음병을 유발한다.
![]() |
갈색날개매미충 피해 (감나무 열매부분) |
![]() |
갈색날개매미충의 산란 모습(산란 피해) |
![]() |
갈색날개매미충 월동알 † 주로 1년생 가지에 산란하고 조직 심부까지 산란함으로 이듬해에는 고사에 이르게 된다. |
박덕기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8.01 02:05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노린재목#큰날개매미충과#과수해충#수목해충#외해해충#돌발해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