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용버섯 이야기(99):자실체와 균사체, 어느 것이 더 약효가?
 |
미국 동부지역의 광대버섯. 이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돋아난 버섯을 자실체라고 한다. |
여기서 먼저 용어부터 정리해보기로 한다. 이태수 박사님의 버섯 전문 용어 해설에 보면 자실체(子實體 fruit body 또는 fruiting body)라 하는 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버섯"이라고 부르는 것을 가리키는데, "버섯균의 영양균사가 생장한 후 분화되어 생식기관인 버섯을 형성 한 것. 자실체는 나무의 열매에 해당한다." 균사(菌絲 hypha)란 "균류의 영양 생장기관으로 실 모양을 이루면서 조직을 만드는 것"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 "균사들이 모여서 나타난 덩어리. 균사가 기관으로 변화되지 못하고 미분화 상태일 때의 것"을 균사체(菌絲體 mycellium)라고 한다. 균사체는 흔히 "종균 등을 말하기도 하며, 흔히 버섯 밑동에 백색 또는 다른 색깔을 가진 균사체가 나타나기도 한다." 그런데 최근 약용버섯 제품들이 많이 생산되면서 자실체에 약효 성분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느냐? 아니면 균사체에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느냐?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과연 어 쪽에 더 의약성분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을까?
 |
균사의 모습 |
우리 한국을 포함하여 아시아에서 약용버섯을 사용해 온 역사는 길고 길다. 전통의학에서 약용버섯은 주로 그 자실체를 채취하여 건강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해 왔다. 채취한 버섯을 말려 두고 다시 물에 불려 달이거나 아니면 담금주를 만들어 이용하였다. 자실체는 중요한 약용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데 베타 글루칸, 트리테르페노이드, 에르고스테롤, 뉴클레오시드와 여러 다른 이차 대사물질들이 들어 있다. 약용버섯에 대한 초기의 연구는 주로 영지(불로초), 운지(구름송편버섯=구름버섯), 잎새버섯, 표고가 포함하고 있는 이러한 의약성분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뒤에 동충하초, 노루궁뎅이버섯과 또 다른 버섯들이 추가로 연구대상이 되었다. 현재 500여종의 버섯(자실체)과 균사체로부터 의약성분들을 연구 검토하여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현재 북미에서는 상업적인 약용버섯 제품들을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다. 이러한 약용버섯 제품들은 자실체와 균사체 둘 다 포함하고 있는 추출물이거나 아니면 균사체 단독 추출물이다.
 |
버섯(자실체) 대 밑동의 균사체 모습 |
문제는 여기서 자실체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균사체 제품은 아주 적은 양의 베타 글루칸이나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그 성분들이 입증되지도 않았으며 따라서 저급한 제품이라는 것이다. 좀 반복되는 이야기이지만 현재 균사체란 실제 살아있는 생명체(actual living organism)이고 자실체는 포자를 생산하는 생식기관으로 생의 고리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비유해서 말하자면 균사체는 사과나무이고 자실체는 그 열매인 사과인 셈이다. 허지만 최근 20여 년간 연구 보고된 바에 따르면 균사체도 가치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자실체의 성분보다 다른 주요 성분이라고 한다.
자실체는 여러 해에 걸쳐 발생 성장한다. 그 과정에서 흔히 주변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는 물
론 다른 균류와 경쟁하는 등 적대적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성분을 계발하고 환경 조건이 맞으면 자실체(버섯)를 형성하여 생의 주기를 이어가게 하는 것이다. 어떤 버섯 자실체는 곤충이나 동물 또는 조류를 유인하여 그 포자를 퍼뜨리기도 한다. 여기서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약용버섯 제품의 전체 다당류 검사는 단지 베타 글루칸뿐만 아니라 전체 다당류를 다 포함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현재 베타 글루칸만 직접 검출하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를테면 어느 약용버섯 제품이 40%의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다고 하는 것은 재고해 볼 필요가 있다.
 |
구름송편버섯(구름버섯, 운지) |
곡물에서 배양한 균사체와 그 임상적 적용에 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비록 자실체가 함유하고 있는 베타 글루칸 보다 적은 양이기는 하지만 균사체에도 베타 글루칸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한국의 박(朴) 등은 2014년 표고의 자실체와 균사체에 포함된 글루칸 성분 조사에서 균사체도 베타 글루칸을 포함하고 있으나 자실체의 그것보다 낮다는 것을 보고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표고의 갓과 대에는 29-56%의 베타 글루칸을 함유하고 있는 데 비하여 표고 균사체에는 15-27% 정도의 양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쌀에서 배양한 차가버섯의 균사체는 소화계통 질환을 가진 환자 림프구 안에 있는 산화(酸化)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준다는 것이 밝혀졌다. 중요한 것은 의약성분 추출방법에 따라 생물학적 활성화에 영향을 준다는 점이다. 에타놀/물 추출방법으로 추출한 어떤 약용성분은 낮은 활성화를 보여준다.
영지버섯의 단백질 부호화 유전자(protein coding genes)는 자실체에 비교하여 균사체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고 한다. 이러한 연구 보고에 따르면 균사체가 함유하고 있는 약용성분은 아직 완전하게 밝혀지지도 않았고 또 그 효과에 대한 것도 다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쨌든 균사체도 어떤 효과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만은 사실이고 앞으로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베타 글루 칸이 중요한 성분이기는 하여도 모두 다 같은 것은 아니며 또 어떤 경우에는 모두 활성성분이라고 할 수도 없다. 약용버섯 제품 안에 들어 있는 지질(脂質)은 전에 베타 글루칸에게 돌렸던 약효에 기여한다는 것이 최근 연구에서 밝혀졌다고 한다. 예를 들면 운지(구름송편버섯=구름버섯)의 균사체에서 추출한 PSK(식물배양세포 증식촉진활성을 지표로 하여 얻어낸 단백질의 일종인 펜타펩티드로 다양한 생리작용을 하는 데 유용한 물질)는 지질을 제거하였을 때 TLR2(톨유사수용체 Toll-like receptor, 인체 안에서 면역체계에 큰 역할을 담당하는 단백질의 일종) 라는 작용제(agonist)처럼 효과가 높지는 않다고 한다.
 |
잎새버섯(유균) |
단당류의 일종인 푸코스(fucose)는 베타 글루칸도 아니고 진짜 전분(녹말)도 아니다. 그러나 운지(구름송편버섯=구름버섯)와 영지 균사체 안에 들어 있는 중요한 당분이다. 이 성분은 해조류 안에도 상당히 많이 들어 있는데 약효가 매우 좋은 성분으로 알고 있으나 많은 실험실 연구에서 버섯 안에 들어 있는 이 성분을 측정하지 않고 있다. 어떤 연구 결과를 보면 1-푸코스로 유도한 항체는 폐암 억제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곡물에서 배양한 균사체의 약효에 대한 최근 과학적 연구를 참고하려면 www.mushroomreference.com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자, 그렇다면 질 좋은 약용버섯 제품 구매를 원하시는 분들은 어떤 제품을 골라야 할까? 자실체와 균사체를 이용하여 만든 제품 둘 다 찾아보아야 할 것이다. 균사체를 이용한 제품은 가격도 저렴하고 켑슐 형태로 만든 제품을 쉽게 만날 수 있고 회사에 따라서 자실체와 균사체 추출물을 함께 섞어 만들기도 한다. 미국 시중에 나와 있는 제품들 가운데 흡수율이 좋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하여 분말형태로 만든 제품도 있다. 흥미 있는 사실은 베타 글루칸과 다른 다당류는 위장을 통과하여 혈관 속에 흡수하기 어려울 만큼 크기 때문이다. 노루궁뎅이버섯은 예외인데 이 버섯의 활성성분은 수용성이라 쉽게 흡수할 수 있다.
 |
노루궁뎅이버섯 |
여기서 한 가지 주의 사항이 있다! 중국에서 수입하는 버섯 제품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 세계적으로 약용버섯 제품의 80%가 중국에서 생산되고 있다. 그런데 유기농 인증을 받은 자실체의 뜨거운 물 추출물을 분석해 본 결과 놀랍게도 납, 카드미움, 비소 등 고도의 중금속이 검출되었다. 뿐만 아니라 사용 금지된 살균제(fungicide)도 검출되었다. 미국 식약청에 따르면 carbendazim이라는 살균제는 음식에 사용 금지된 것이다. 국제적으로도 사용 금지된 살균제이다. 중국에서 수입한 값싼 표고 구입은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다. 어쨌든 현 단계에서는 자실체냐? 균사체냐? 그 어느 쪽이 더 약효가 좋은 성분을 가지고 있는지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자실체와 균사체를 이용한 약용버섯 제품 둘 다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 않을까 싶다. @
참고자료:
Robert Dale Rogers, "Mushrooms vs. Mycellium: Choosing the Best Medicinal,"
Fungi, volume 9, No.1, Spring 2016, pp. 1921.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6.09.08 08:01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종수#약용버섯#균사#균사체#자실체#버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