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기근의 원인은 '공해'
세계 최악의 기근이 아프리카를 휩쓴지 20년이 지난 지금, 호주와 캐나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기근의 원인'을 산업 국가로부터 배출된 '공해 물질'로 지적했다.
1970년에서 1985년에 걸친 가뭄에 의한 기아(starvation)로 아프리카 세네갈에서부터 에티오피아에 이르는 넓은 지역의 주민들이 피해를 보았으며, 다시 비가 와서 가뭄이 해소되기까지는 120만 명의 목숨이 잃어야 했다.
호주와 캐나다 공동 연구팀은 이러한 재앙에 대해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을 비롯한 아프리카 등 수 천 마일 떨어진 곳의 공장과 발전소에서 배출된 '이산화황(sulfur dioxide)'의 작은 입자들이 가뭄을 유발한 것이라고 말했다.
컴퓨터를 이용한 대기 조건 시뮬레이션에 의하면 에어로졸과 같은 짧은 수명의 입자들은 아프리카에까지 이동될 수 없지만, 그 대신 구름 형성 현상에 변화를 가져와 아프리카 지역의 강수량을 5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
"사막 주변 초원 지대의 가뭄은 자연의 변이성과 대기 에어로졸이 빚어낸 현상"이라고 호주 정부 연구기관 CSIRO의 Rostayn 박사는 말했으며, 이러한 내용을 Journal of Climate 8월호에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한 한 가지 흥미로운 단서는 1990년대 초원 지대에 다시 비가 내리기 시작했는데, 같은 기간에 서구 산업 사회에서는 에어로졸 공해 물질의 배출 감소 법률이 실효를 거두고 있을 때였다고 한다.
따라서 "향후 공기를 깨끗하게 만듦으로써 이 지역에서의 강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고 Rotstayn 박사는 덧붙였다.
이산화황 입자는 공기 중에서 5일에서 20일을 존속하게 되는데, 북대서양을 표류하며 구름 형성에 필요한 응결 핵의 숫자를 증가시킨다고 연구팀은 가정하고 있다. 이때 이루어지는 부가적인 핵 형성이 작은 방울들로 성장하여 비로 내리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많은 핵을 함유하고 있는 구름의 경우 일반적인 구름보다 더 밝기 때문에 태양 에너지를 우주 공간으로 더 많이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북대서양 표면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고 정상적인 증발 속도가 감소되어 물 사이클의 변화가 발생된다고 한다.
출처 : kisti. 환경공학 등 록 일 2002-07-23 원문출판일 2002년 07월 21일
http://www.nandotimes.com/healthscience/ /473672p-3785211c.html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3.11.05 08:2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