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담배나방 Helicoverpa armigera는 현재 파키스탄에서 목화의 가장 중요한 해충으로, 최근 1997년과 1998년에 파키스탄에서 대발생했다. 생물학적으로 이 종은 높은 번식력, 큰 이동가능성, 넓은 기주범위, 불리한 환경조건을 극복하기 위한 휴면행동 덕분에 가장 성공적인 해충 가운데 하나가 됐다. 이 종은 방제에 이용되는 거의 모든 전통적인 살충화합물에 대한 저항성을 발달시키는 능력 때문에 방제가 어려운 해충으로 여겨지고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엔도설판(endosulfan), 피레스로이드계, 유기인계에 대한 왕담배나방의 저항성이 이미 보고됐다.
본 논문에서 파키스탄 중앙목화연구소 Mushtaq Ahmad 연구팀은 지난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카바메이트계인 카바릴(carbaryl), 알라니카브(alanycarb), 메소밀(methomyl), 시오디카브(thiodicarb)에 대한 파키스탄의 왕담배나방 포장(圃場)개체군의 저항성 상태를 엽침지법(leaf-dip method)을 이용해 평가했다.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볼 때, 카바릴, 알라니카브, 메소밀에 대한 저항성은 지난 1994년과 1995년에 높았고, 1996년과 1997년에는 낮았으며, 1998년과 1999년에는 보통에서 높은 수준을 보였다. 파키스탄에서는 카바메이트계의 이용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향은 이해되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은 다른 살충제그룹에 대해 발달한 메커니즘에 의한 교차저항성(cross-resistance)의 결과일 것이다.
그러나 카바릴, 알라니카브, 메소밀간에는 광범한 교차저항성이 뚜렷했다. 놀랍게도 6년간의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시오디카브에 대한 저항성 수준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항성 요인의 상관관계는 시오디카브와 카바릴간에 또는 메소밀간에 나타나지 않았다. 시오디카브와 다른 카바메이트계간의 교차저항성 결여는 이 해충에 대한 저항성관리전략을 창출하는데 매우 고무적인 것이다.
* Mushtaq Ahmad
* Central Cotton Research Institute, P.O. Box 572, Multan, Pakistan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등 록 일 2001-06-19 원문출판일 2001년 05월 31일
Crop Protection 20: 427-432, 2001년 6월호
운영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3.07.16 15:59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