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밭의 환경에 최적화된 미생물 어디에 있을까 인접 산 부엽토 속에 있다. 인접 산에 가서 3종 이상 나무 아래 소복히 쌓인 낙엽을 걷어내고 부식된 낙엽과 흙이 혼합되어 있는 부엽토를 한 줌씩 모아 검은 비닐에 넣고 혼합하여 그늘에 보관하며 이것을 연중 미생물 원종으로 활용한다. 부엽토 1g속에는 원생동물 3만 마리, 조류 4만 마리, 곰팡이 40만 마리, 박테리아 수십 억 마리가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수백 만 종의 미생물이 부엽토속에 서식하고 있다. 미생물의 먹이(배지)는 산야초와 바닷물로
미생물은 보통 30분 만에 숫자가 2배씩 늘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영양이 부족하면 배양은 위축되고 만다. 원활한 배양을 위해 미생물에 최적화된 배지가 필수다. 배지는 어디에 있을까 궁금하면 부엽토에게 직접 물어보라! ‘아~ 떨어진 낙엽과 땅에서 자란 풀들이 유기영양이 되고, 암석과 흙의 분해로 무기영양 먹고 살았다는 상상을 충분히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조건에 근접하는 먹이를 직접 구하고 만들어 낸다. 바로 산야초 10여종으로 녹즙을 만들어 유기영양을 준비하고 바닷물로 무기영양을 채워준다. 그리고 당밀을 약간 가한다.
|
미생물을 배양하기 위해서 첨단시설이 필요하다는 생각은 큰 오해다. 첨단시설이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균일한 조건을 만들어줘 미생물이 신속하게 배양되도록 하는 시설인데 이런 시설에서 나온 미생물제는 내 토양과 내 작물의 환경적 조건을 전혀 반영하지 못한다. 자닮의 미생물 배양의 원칙, 토양과 작물과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하라! 그래야 토양과 작물에 최적화된 미생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배양조를 작물과 동일한 조건에 놓이도록 하는 것은 기본에 기본이다. 그래서 특별한 배양조도 필요 없고, 인공가온도 필요 없고, 전기도 필요 없고 배양조를 감싸는 건물조차도 필요 없게 되는 것이다. 고무통에 물 2/3정도 채우고 뚜껑 덮으면 그만이다. 적당한 조건성 호기와 혐기의 조건에서 배양이 시작된다. 배양과정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산야초 즙액과 바닷물을 배지로 넣고 부엽도 한 줌으로 어떻게 배양 될까 의구심이 들겠지만 걱정하지 말자. 우리의 두 눈으로 배양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고 언제 써야 할지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500리터 물에 배양해 완성된 미생물은 시판되는 미생물제 1천 병 내외를 만들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양이다. 자닮 방식으로 자가 배양하는데 든 비용은 당말 값 약 3,000원 정도에 불과하다. 비용을 제로화하기 이해 당밀을 빼도 배양에는 큰 문제가 없다. 당밀은 미생물의 배양속도를 빠르게 하고 시각적으로 활용적기를 확인하기 수월한 면이 있어 추가하고 있다. 당밀의 대용으로 곡물가루를 삶아낸 물, 산야초를 갈아 삶아낸 물 등을 활용하기도 한다. 보통 100배로 물에 희석해서 활용한다. 토양은 미생물의 집이다. 집에는 수용의 한계가 있다. 한꺼번에 너무 많은 미생물이 들어가게 되면 작물의 영양과 호흡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100배 희석을 권하는 것이다. 500리터의 배양액을 물로 100배 희석하면 50톤의 양이 되고 이를 활용하기에 따라서 5만평까지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관주시 면적을 기준으로 하면 300평에 배양원액 20리터 내외, 엽면시비시 물량을 기준으로 하면 500리터 물에 10리터 내외로 활용한다. 미생물이 척박한 토양에서는 좀 더 많은 양을 넣어도 된다.
|
○작물 정식 전, 개화 직전 10일 간격으로 2회 이상 토양과 목질부에 충분히 살포한다. (우기시 적당) 작물 생유기 이전에 미생물제는 재배 전 토양기반 조성에 효과가 크다. 10배 희석액도 가능하다. 묵질부 살포시 황토분말을 2kg(500리터)을 추가하면 충 방제효과도 거둘 수 있다. ○작물 정식하고 활착이 진행된 후, 착화가 끝난 후 10일 정도 간격으로 지상부에서 토양까지 충분히 살포한다. 주기적인 토착미생물제의 활용은 토양 미생물상을 활성화시켜 토양의 물리성과 비옥도를 증대시킨다. ○독초브랜딩 천연농약과 혼합하여 엽면시비로 활용할 수 있다. 작물 표면에 미생물 다양성을 높여주고 병원균이 퍼질 수 있는 공간을 사전 선점하여 병원균의 확산을 막는다.
|
시판되는 미생물제는 보통 액체나 고체분말 형태로 판매된다. 이것을 저장균 이라고 한다. 액체 미생물제는 미생물배양액에 설탕 등을 혼합하여 생산되는 것이고, 고체분말 미생물제는 미생물 배양액을 천연 유기분말, 무기분말 등에 혼합하여 재차 배양하여 생산된다. 생산관정이 복잡하지 않아 농가적 수준에서 충분히 제조가 가능하다. 저장균은 특정한 장소와 균일한 조건에서 대량으로 배양되어 나오기 때문에 배양과정이 내 작물과 토양 고유의 조건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2도 고온이라는 일정한 조건, 일정한 산소의 조건, 일정한 PH조건, 일정한 먹이의 조건에서 배양되기 때문에 야생과 다름없는 통양에서의 적응도가 떨어진다. 노지에서 인접 산의 부엽토로 자가 배양하는 균을 생균이라고 한다. 생균은 명확하게 내 토양과 작물의 고유한 환경 조건을 그대로 반영하기 때문에 저장균과 견줄 수 없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토양의 건강성은 토양 미생물의 건강성이 만든다. 미생물 건강성의 든든한 기반을 만다는 데 노지 생균배양 방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IMG6@@ 미생물 유해성의 공포에서 벗어나 자가 배양으로 갑시다!!
미생물은 유익한 것과 유해한 것으로 나눈 것이 상식처럼 보이겠지만 이렇게 구분할 수 있는 과학적 기반은 불과 1% 미만이다. 아직 토양미생물의 1%도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정직한 과학자는 생명을 단정적으로 유익, 유해로 나누는 상업적 논리에 동조하지 않는다. 모든 생명은 다 양면성 가운데 존재하기 때문이다. 미생물의 유해성 논리가 미생물 상업화, 전문화의 명분을 제공하지만 그 과학적 기반은 아주 취약하다. 유해성의 공포에 빠지면 농민은 끊임없이 미생물제를 사 써야 한다. 순수한 부엽토속에 귀를 기울이자. 50년 전 대 선배님들은 미생물 걱정 안했다. 인접산 부엽토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영상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0.03.10 10:12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