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농업관련정보
기사수정 삭제
중국, 농업생태계 온실기체 배출규칙 제시
농업생태계는 인위적으로 온실기체(green house gases)를 배출하는 주요 내원(source)으로서 농업생태계 온실기체 배출 메커니즘 및 적당한 농업관리조치를 통해 배출감소를 제어하는 것은 현재 과학연구에서의 이슈 중의 하나이다. CO2, CH4와 N2O는 대기에서 가장 중요한 온실기체로서 전세계 약 47%의 CH4와 84%의 N2O의 배출은 농업활동에서 제공된다. 논밭 토양은 근계호흡, 토양동물 호흡과 미생물호흡을 통해 온실기체를 생성하고 또한 대기로 방출하는데, 이가 바로 대기 온실기체의 주요내원이다. 중국과학원 신강(XinJiang)생태와 지리연구소 Xiao-peng Gao 연구원과 캐나다 매니토바대학교(University of Manitoba)는 협력하여 농업생태계 온실기체의 생성, 배출 메커니즘 및 이가 미치는 영향요소에 대해 연구하였고 농업생태계 온실기체 배출감소 기술체계를 구축하였다.

토양 탐침기술(probe technology)로 다양한 심층 토양단면의 CO2, CH4, N2O 농도에 따른 동적변화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온실기체 배출 계절성 변화와의 관련된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N2O와 CH4는 토양에서의 생성과 배출 피크는 시비한 후 3주 ~ 4주 내 및 봄철 눈이 녹는 과정에 집중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봄철 눈이 녹는 단계 토양 속의 온실기체 농도는 시비단계보다 현저하게 높지만 대기로 온실기체를 배출하는 양은 후자보다 현저하게 낮으며 이는 주로 온실기체가 토양 단면에서의 심층분포와 토양 함수량에 관계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눈이 녹는 단계의 온실기체 생성은 주로 토양 속 깊이 15~35cm 되는 곳에 집중되었지만 시비단계 온실기체 생성의 토층은 5cm 정도이고 또한 눈이 녹는 단계 토양 함수량은 매우 높으며 일부분 N2O 기체는 탈질작용(denitrification)으로 인해 N2로 전환되며 눈이 녹는 단계 온실기체 배출량은 시비단계보다 낮게 된다.

토양 단면 CO2 농도 및 배출은 토양 온도와 현저한 정적(positive)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관련된 연구성과는 Greenhouse gas accumulation in the soil profile is not always related to surface emissions in a prairie pothole agricultural landscape라는 제목으로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에 발표되었다.

다년간 초지 생태계 온실기체 배출의 공간성과 계절성 변화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한 결과에 의하면, 시비처리를 하지 않은 것에 비해 유기비료를 조간시비(row replacement)하면 초지 N2O 배출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배출 피크는 시비 후 3주 정도이며 주로 조간시비 지역위치에 집중되었을 뿐만 아니라 토양 NO3-농도가 증가하지만 NH4+가 감소하는데 이는 N2O 배출은 주로 질화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설명한다.

1년간 N2O 배출량은 약 유기비료 질소 사용량의 0.7% ~ 0.9%이다. 연구에서 또한 유기비료의 사용과 관계없이 CH4 배출량은 모두 매우 낮았다(< 5 g C ha-1 d-1). 목초(herbage) 종류인 자주개자리(alfalfa) 혹은 잠두(sainfoin)는 온실기체 배출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관련된 연구성과는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pig slurry applied to forage legumes on a loamy sand soil in south central Manitoba라는 제목으로 Canadian Journal of Soil Science에 발표되었다.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원문: http://www.cas.ac.cn/ky/kyjz/201411/t20141111_4250842.shtml

제공:kisti,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4.12.02 11:13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isti

icon관련키워드기사
  • 폭 93cm의 소수력 발전기
  • 풍력터빈이 야생동물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
  • 소멸 위기에 있는 열대빙하의 독특한 생태계
  • 환경에 대한 탄소의 영향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자료 분석
  • 세계 및 일본의 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 예상(2014)
  • 염의 삭감 : 고속도로 눈과 얼음을 제어하는 녹색 방안
  • 기후 변화 완화 정책에서 조림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
  • 태양 자외선에 의한 건강을 위한 비타민D 생성과 피부에의 유해성 평가
  • 중국 농무부의 정책 변화: GM 쌀 및 옥수수에 대한 연구 불허(不許)
  • 전세계 식량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국의 식물 다양성
  • 모든 미래 수요량을 충족할 수 없는 전세계 식량 무역 규모
  • 유전자조작기술보다 앞서는 전통적 품종개량기술
  • 옥수수 반점: 방어 반응의 주요 유전자 확인
  • 식물의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 온도 반응형 전사인자
  • 남조류의 효소를 이용하여 식물의 광합성 능력을 증강시킨다
  • 벼 스티그마 단백질 인산화 수정 연구
  • 물고기 이야기: 양식 물고기의 항생제 잔류를 평가한 새로운 연구
  • 식물의 뿌리에서 질소영양 섭취 효율을 제어하는 호르몬 발견
  • 생물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하수구 진흙 이용하기
  • 티베트인들이 3400미터 고도에 오르게 된 이유: 보리
  • 나방에 대한 자연적 저항성 유전자
  • 대사 지연, 비만 및 당뇨와 관련이 있는 살충제 DDT
  • 농장 바이오가스 생산과 관련한 환경적 상충관계 연구
  • 태평양 무역풍을 강화시키는 대서양 온난화
  • 전 세계 해양의 수은 농도 분석
  • 유정에 존재하는 물로 이루어진 미생물의 세계
  • 2020년대에는 연료전지가 자동차에서 사무실까지 보급 확대
  • 메콩강의 수산 유용 어종의 회유 생태 연구
  • 지구 규모의 경제 리스크로서의 기후변동문제
  • 폐열을 전기로 전환하는 열전 장치
  • 와인잔을 오염시키는 프탈레이트 화합물
  • 빈번한 기후 극한을 유발하는 로스비파
  • 후쿠시마 방사성 물질의 리스크 관리 연구
  • 아프리카 조리기구에서 녹아 나오는 납에 오염되는 음식물
  • 교토의 전통가옥을 스마트화
  • 꽃 형성에 있어 식물 호르몬의 이중적 역할
  • 삼림의 탄소 흡수능을 저해시키는 덩굴식물
  • 거미독 기반 살충제
  • 이산화탄소 증가, 식품의 영양소를 저감시키다
  • 비용을 절감케 하는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농업기계의 사용
  • 콩 유전자로부터 밝혀진 질소 고정 원리
  • 달콤하지만 치명적인 초파리 살충제
  • 비료보다 중요한 벌의 역할
  • EU 각료이사회, 회원국들에게 GM 농산물 재배 거부권 부여
  • 탄수화물이 많을수록 가뭄에 내성을 가지는 나무
  • 조류를 위협하는 살충제 사용 증가
  • 식량 낭비만 줄여도 30억 명의 인구를 더 먹여살릴 수 있다
  • 잡종벼의 성능예측 통계모델
  • 실내 태닝에 의한 피부암 위험 증가
  • 저렴하고 환경 친화적인 담수화
  • 남아메리카에서 측정된 기록적인 수준의 태양 자외선
  • 도시 열섬 효과의 정량화
  •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기 질 악화 : 대기 침체
  • 농약과 자폐증의 연관성
  • 전 지구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기후 온난화 현상
  • 환경호르몬 BPA, 유방암 종양 성장과 관련있어
  • 파쇄 폐수에서 방사능을 과소평가하는 분석 테스트
  •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지구 온난화
  • 자폐증, 환경적인 요인과 관련 있어
  • 수막염 발생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후 조건
  • 체르노빌의 생태계 근간에 미치는 방사능의 영향
  • 해양 플랑크톤이 생태계와 기후에 미치는 영향
  • 기후 변화가 심층 해류 순환에 미치는 영향
  • 석탄화력발전소 감소,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다
  • 브라질, 최초의 지역적인 해양 건강 지수 생성
  • 강 얼음을 통한 북극의 빠른 해빙 현상의 이해
  • 굴 양식을 통한 강 어귀 수질의 향상
  • 오염물질 수준을 낮추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철을 함유한 광물
  • 친환경폴리에스터(polyester)의 원료가 되는 황벽나무(cork tree)
  • 지구 온난화에 대한 소설 및 영화,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능력 키워줘
  • 그래핀 산화물 나노입자의 환경적인 영향
  • 해저에서 해양 쓰레기가 미치는 악영향
  •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의 증가, 작물의 영양성분을 감소시켜
  • 그린란드의 해빙, 지구 온난화와 자연적 변동 모두 다 원인
  • 인간의 대변: 약물(drug)로 볼 것인가, 조직(tissue)으로 볼 것인가?
  • 사회적 기억에 필수적인 뇌 영역
  • 힘을 얻은 뇌지도 작성프로젝트
  • 스트레스를 받는 뇌세포는 알츠하이머로부터 보호작용을 한다
  • 뇌종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항체
  • 1조 개의 다른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인간의 코
  • 새로운 비만치료법: 물질대사의 가속화
  • 동물과 식물 간의 장벽을 뛰어넘은 세균: 포도나무와 공생하는 여드름 세균
  • 벼의 종자발아 인산화 단백질체 연구에서 얻은 성과
  • 집약적 커피 재배의 확산, 환경에 악영향 미칠 수 있어
  • 꽃 형성에 있어 식물 호르몬의 이중적 역할
  • 입자성 대기 오염 물질이 삼림의 황폐에 미치는 영향
  • 종자와 동물의 상대 풍부성이 산림 종자 존재와 확산에 미치는 영향
  • 옥수수 수확량 예측모델
  • 새로운 게놈 비교 방법을 통한 관련 유전자 개량
  • 노균병의 손쉬운 진단 방법
  • 기후 정보를 통한 농작물 작황 실패 여부 예측이 가능해
  • 중금속 잔류량을 빠르게 검사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
  • 사막에 나무를 심는 것이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을까?
  • 언 브로콜리가 지닌 항암효과
  • 중국, 잣나무와 신갈나무 유묘의 빛 제어와 공존 메커니즘
  • 밀의 수확 전 발아를 막는 유전자 발견
  • 지구온난화와 병충해의 확산
  • 지구 온난화를 막는 식물
  • 홍수가 아닌 한랭 지대 초기 곡물의 질소 고정원
  • 수백 년 전부터 사용된 고추 소스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