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농업현장 농업관련정보
기사수정 삭제
언 브로콜리가 지닌 항암효과
이번 달 일리노이대(University of Illinois)의 브로콜리(broccoli) 연구자들로부터 나쁜 소식과 희소식이 들려왔다. 처음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언 브로콜리가 신선한 상태의 브로콜리에 비해 암과 싸우는 화학물질인 설포라판(sulforaphane) 활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이어진 두 번째 연구에서 어떠한 방법으로 식품 산업이 언 형태의 채소에서 건강상의 이득을 다시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동 대학의 영양학과 교수인 Elizabeth Jeffery는 “우리는 언 형태의 브로콜리가 신선한 것만큼 충분한 영양을 지니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발견했다. 이것은 중요한데, 많은 사람들이 자신들의 편의를 위해 냉동 채소를 이용하며 이들은 또한 저렴하기 때문이다. 내가 사람들에게 언 것은 신선한 것에 비해 영양소가 풍부하지 못하다고 말할 때마다 그들은 풀이 죽는다”고 말했다.

문제는 약 18개월의 유통기한을 가지고 있는 브로콜리를 얼기 바로 직전에 데치거나 높은 온도로 열을 가하거나, 혹은 색, 맛, 향을 변형시키는 효소를 불활성화시킬 때 발생한다. 높은 열을 가하는 것은 브로콜리에서 강력한 항암 화학물질인 설포라판을 만드는데 필요한 미로시나아제(myrosinase)를 파괴한다. 이에 대해 Jeffery의 연구실 소속 연구원인 Edward B. Dosz는 “우리는 이 중요한 효소가 사라져버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는데, 그 이유는 요리하기 전후에 3가지 종류의 언 브로콜리를 이용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언 형태의 브로콜리를 요리하기 전에는 설포라판이 만들어질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다.

두 번째 연구에서, 연구자들은 현재 관련 산업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86ºC보다 약간 낮은 온도에서 브로콜리를 데치는 실험을 수행했다. 그들이 76ºC의 온도에서 데쳤을 때, 효소인 미로시나아제(myrosinase)의 82%는 보전되었다. 신선한 형태의 브로콜리가 요리될 때, 설포라판은 형성되며 이들의 전구체인 글루코라파닌(glucoraphanin)과 미로시나아제는 서로 접촉하게 된다. 연구자들은 처음에는 냉장고에 있는 언 형태의 브로콜리에서 이들의 세포가 분해되며 효소-기질 간의 반응이 시작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렇지는 않았다.

연구자들은 이전에 이미 다른 음식에서 미로시나아제를 이용해 브로콜리의 건강상의 이득을 취하는데 성공한 바 있다. 그래서 연구자들은 언 브로콜리를 관계된 다른 채소로부터 얻은 미로시나아제에 노출시키도록 했다. 연구자들이 언 브로콜리를 0.25%의 동양무(daikon radish)에 뿌렸을 때, 두 화합물들은 함께 작용해서 설포라판을 형성했다.

하지만 한 가지 의문은 남아있다. 전자레인지로 음식을 할 때 설포라판이 살아남아 있을 수 있을까 이에 대해 Dosz는 “우리는 이 뛰어난 영양소가 120ºF에서 10분 동안 요리되는 동안에도 브로콜리의 건강상의 이득을 줄 수 있을 정도로 잘 보존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따라서 언 브로콜리를 전자레인지에 녹여 음식을 해도 항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림: 항암 물질인 설포라판(sulforaphane)을 만들어내는 브로콜리

키워드 : 미로시나아제,글루코라파닌,설포라판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원문: http://phys.org/news/2013-08-scientists-cancer-fighting-power-frozen-broccoli.html

제공:kisti,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4.02.19 16:41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isti

icon관련키워드기사
  • 폭 93cm의 소수력 발전기
  • 풍력터빈이 야생동물에 주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
  • 소멸 위기에 있는 열대빙하의 독특한 생태계
  • 환경에 대한 탄소의 영향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자료 분석
  • 세계 및 일본의 이산화탄소, 온실가스 배출 예상(2014)
  • 염의 삭감 : 고속도로 눈과 얼음을 제어하는 녹색 방안
  • 기후 변화 완화 정책에서 조림의 역할에 대한 재평가
  • 태양 자외선에 의한 건강을 위한 비타민D 생성과 피부에의 유해성 평가
  • 중국 농무부의 정책 변화: GM 쌀 및 옥수수에 대한 연구 불허(不許)
  • 전세계 식량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국의 식물 다양성
  • 모든 미래 수요량을 충족할 수 없는 전세계 식량 무역 규모
  • 유전자조작기술보다 앞서는 전통적 품종개량기술
  • 옥수수 반점: 방어 반응의 주요 유전자 확인
  • 식물의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 온도 반응형 전사인자
  • 남조류의 효소를 이용하여 식물의 광합성 능력을 증강시킨다
  • 벼 스티그마 단백질 인산화 수정 연구
  • 물고기 이야기: 양식 물고기의 항생제 잔류를 평가한 새로운 연구
  • 식물의 뿌리에서 질소영양 섭취 효율을 제어하는 호르몬 발견
  • 중국, 농업생태계 온실기체 배출규칙 제시
  • 생물에너지를 얻기 위해서 하수구 진흙 이용하기
  • 티베트인들이 3400미터 고도에 오르게 된 이유: 보리
  • 나방에 대한 자연적 저항성 유전자
  • 대사 지연, 비만 및 당뇨와 관련이 있는 살충제 DDT
  • 농장 바이오가스 생산과 관련한 환경적 상충관계 연구
  • 태평양 무역풍을 강화시키는 대서양 온난화
  • 전 세계 해양의 수은 농도 분석
  • 유정에 존재하는 물로 이루어진 미생물의 세계
  • 2020년대에는 연료전지가 자동차에서 사무실까지 보급 확대
  • 메콩강의 수산 유용 어종의 회유 생태 연구
  • 지구 규모의 경제 리스크로서의 기후변동문제
  • 폐열을 전기로 전환하는 열전 장치
  • 와인잔을 오염시키는 프탈레이트 화합물
  • 빈번한 기후 극한을 유발하는 로스비파
  • 후쿠시마 방사성 물질의 리스크 관리 연구
  • 아프리카 조리기구에서 녹아 나오는 납에 오염되는 음식물
  • 교토의 전통가옥을 스마트화
  • 꽃 형성에 있어 식물 호르몬의 이중적 역할
  • 삼림의 탄소 흡수능을 저해시키는 덩굴식물
  • 거미독 기반 살충제
  • 이산화탄소 증가, 식품의 영양소를 저감시키다
  • 비용을 절감케 하는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농업기계의 사용
  • 콩 유전자로부터 밝혀진 질소 고정 원리
  • 달콤하지만 치명적인 초파리 살충제
  • 비료보다 중요한 벌의 역할
  • EU 각료이사회, 회원국들에게 GM 농산물 재배 거부권 부여
  • 탄수화물이 많을수록 가뭄에 내성을 가지는 나무
  • 조류를 위협하는 살충제 사용 증가
  • 식량 낭비만 줄여도 30억 명의 인구를 더 먹여살릴 수 있다
  • 잡종벼의 성능예측 통계모델
  • 실내 태닝에 의한 피부암 위험 증가
  • 저렴하고 환경 친화적인 담수화
  • 남아메리카에서 측정된 기록적인 수준의 태양 자외선
  • 도시 열섬 효과의 정량화
  •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기 질 악화 : 대기 침체
  • 농약과 자폐증의 연관성
  • 전 지구적으로 균일하지 못한 기후 온난화 현상
  • 환경호르몬 BPA, 유방암 종양 성장과 관련있어
  • 파쇄 폐수에서 방사능을 과소평가하는 분석 테스트
  •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지구 온난화
  • 자폐증, 환경적인 요인과 관련 있어
  • 수막염 발생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기후 조건
  • 체르노빌의 생태계 근간에 미치는 방사능의 영향
  • 해양 플랑크톤이 생태계와 기후에 미치는 영향
  • 기후 변화가 심층 해류 순환에 미치는 영향
  • 석탄화력발전소 감소, 아동의 건강을 증진시키다
  • 브라질, 최초의 지역적인 해양 건강 지수 생성
  • 강 얼음을 통한 북극의 빠른 해빙 현상의 이해
  • 굴 양식을 통한 강 어귀 수질의 향상
  • 오염물질 수준을 낮추는 침전물에 존재하는 철을 함유한 광물
  • 친환경폴리에스터(polyester)의 원료가 되는 황벽나무(cork tree)
  • 지구 온난화에 대한 소설 및 영화, 기후변화에 대한 대처능력 키워줘
  • 그래핀 산화물 나노입자의 환경적인 영향
  • 해저에서 해양 쓰레기가 미치는 악영향
  • 대기 중 이산화탄소 수치의 증가, 작물의 영양성분을 감소시켜
  • 그린란드의 해빙, 지구 온난화와 자연적 변동 모두 다 원인
  • 인간의 대변: 약물(drug)로 볼 것인가, 조직(tissue)으로 볼 것인가?
  • 사회적 기억에 필수적인 뇌 영역
  • 힘을 얻은 뇌지도 작성프로젝트
  • 스트레스를 받는 뇌세포는 알츠하이머로부터 보호작용을 한다
  • 뇌종양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항체
  • 1조 개의 다른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인간의 코
  • 새로운 비만치료법: 물질대사의 가속화
  • 동물과 식물 간의 장벽을 뛰어넘은 세균: 포도나무와 공생하는 여드름 세균
  • 벼의 종자발아 인산화 단백질체 연구에서 얻은 성과
  • 집약적 커피 재배의 확산, 환경에 악영향 미칠 수 있어
  • 꽃 형성에 있어 식물 호르몬의 이중적 역할
  • 입자성 대기 오염 물질이 삼림의 황폐에 미치는 영향
  • 종자와 동물의 상대 풍부성이 산림 종자 존재와 확산에 미치는 영향
  • 옥수수 수확량 예측모델
  • 새로운 게놈 비교 방법을 통한 관련 유전자 개량
  • 노균병의 손쉬운 진단 방법
  • 기후 정보를 통한 농작물 작황 실패 여부 예측이 가능해
  • 중금속 잔류량을 빠르게 검사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
  • 사막에 나무를 심는 것이 기후변화를 완화시킬 수 있을까?
  • 중국, 잣나무와 신갈나무 유묘의 빛 제어와 공존 메커니즘
  • 밀의 수확 전 발아를 막는 유전자 발견
  • 지구온난화와 병충해의 확산
  • 지구 온난화를 막는 식물
  • 홍수가 아닌 한랭 지대 초기 곡물의 질소 고정원
  • 수백 년 전부터 사용된 고추 소스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