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버섯 이야기
약용버섯 이야기(20): 노루궁뎅이노루궁뎅이는 각종 암, 위장병, 신경쇠약, 신체허약, 치매 및 신경/뇌와 관련된 질병에 효능이 있다.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노루궁뎅이 Hericium erinaceum

 

노루궁뎅이 Hericium erinaceum(Bull.) Pers. = H. erinaceus 영어속명 Loin's Mane, Satyr's Beard, 재배형 Pom Poms.

 

속명(屬名) Hericium이란 라틴어로 "고슴도치"를 뜻한다. 종명(種名) erinaceum 또는 erinaceuse도 유럽의 고슴도치 Erinacius eruropius라는 이름에서 온 것으로 "고슴도치 같은" 또는 "가시가 많은" 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노루궁뎅이의 학명은 이 버섯이 가진 무수한 침을 가리키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 생목의 상처부위에서, 또는 참나무나 너도밤나무, 단풍나무(maple) 고사목에 돋고 특히 고사목 높은 곳에도 돋는 것이 그 특징이다.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노루궁뎅이

 

노루궁뎅이는 식용버섯으로 그 맛이 썩 좋다. 삶을 때 소금을 약간 치고 삶아서 초장을 찍어먹어도 일품이고, 서양 사람들처럼 버터에 볶아 먹어도 맛이 좋다. 노루궁뎅이는 인공재배가 가능하여 톱밥 재배 등 여러 인공재배 방법이 개발되어 다량으로 생산되고 있어 중국에서는 통조림으로 판매될 정도로 많이 생산된다.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수실노루궁뎅이 Hericium coralloides(Scop.) Pers.(= H. ramosum 산호침버섯)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수실노루궁뎅이

 

전통 의학적 사용

 

중국 전통의학에서 소화 촉진과 위궤양 치료에 노루궁뎅이를 사용하고 또 강장 효과가 있어 신경쇠약증과 전신쇠약에도 효능이 있다고 믿는다. 1990년 11차 아시안 게임 때 여러 종류의 노루궁뎅이속 버섯들의 균사체 달임물을 Houtou(猴頭)라고 하여 운동선수들의 음료수로 마시게 하였다. 그 결과 여러 경기에서 우승하게 된 것이 바로 노루궁뎅이 달임물 때문이었다고 한다. 또 여러 인디언 부족들도 노루궁뎅이 말린 가루를 지참하여 상처 입었을 때 지혈제로 사용한다고 한다.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미국 수실노루궁뎅이 H. americanum Ginns

 

현대 의학적 사용

 

화학성분:

 

1. 항종양 다당체 5종 heteroxyloglucan, galactoxyloglucan, glucoxylan-protein, glucoxylan, xylan.

 

2. HeLa 세포증식 억제 활성성분 erinacine A, B.

 

3. 신경 성장 인자 유도 합성 촉진 성분 erinacine C,D,E,F,G,H

 

4. 방향제 erinacerins A, B.

 

5. 그 밖의 cyathane 유도체, calciferol(비타민 D2), ergosterol 등등

 

약리작용:

 

항종양(sarcoma 180/쥐실험), HeLa 세포증식 억제, 항염, 항균, 소화촉진, 위점막보호 기능 증강, 궤양치료 촉진, 면역 증강(이상 박완희, 442쪽; Rogers, 213-214쪽).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역시 미국 수실노루궁뎅이

 

적응증: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위염, 만성위축성위염, 식도암, 분문(噴門)암, 위암, 장암, 소화불량, 신경쇠약, 신체허약(이상 박완희, 442쪽).

 

그런데 과학자들이 노루궁뎅이에서 아주 흥미로운 erinacine라는 성분을 발견하였는데 이 성분은 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 억제제(kappa opioid receptor-binding inhibitor)인데 간질과 뇌졸중뿐만 아니라 뇌와 척추 외상이 있을 때 신경을 보호해 주는 경련 진정제의 효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치매와 다른 만성 신경/뇌와 관련된 질병의 호전을 가져온다고 한다. 특히 뇌혈관 질병, 퇴행성 지체이상, 파킨슨씨병, 척수뇌변성증, 당뇨병성신경병증, 척수외상, 폐용증후군을 가진 환자들에게 노루궁뎅이는 뇌조직 재생의 강력한 유도인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이상 Rogers, 213-214. 임상 실험 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짧은 침을 가진 노루궁뎅이 H.erinaceus ssp. erinaceo-abietus Burds., O.K. Mill. & Nakasone

 

노루궁뎅이 용법, 용량:

 

1. 소화불량-- 노루궁뎅이 말린 소절편 60g을 물에 달여 하루 두 번 마신다.

 

2. 신경쇠약, 신체허약-- 150g을 닭과 함께 삶아 하루 1-2번 복용한다.

 

3. 위궤양--노루궁뎅이 말린 것 30g을 물에 달여 하루 두 번 복용한다(이상 박완희, 442쪽, 참고 Rogers, 215쪽).

 

한마디로 노루궁뎅이는 각종 암, 위장병, 신경쇠약, 신체허약, 치매 및 신경/뇌와 관련된 질병에 효능이 있는 약용버섯이자 맛 좋은 식용버섯이다. @

 

 

www.jadam.kr 2013-02-10 [ 최종수 ]
역시 침이 짧은 노루궁뎅이. 처음에는 유균이라 침이 아직 덜 자라 짧은 줄 알았는데 원래 침이 짧은 아종임을 알게 되었다.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210-215.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442쪽.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3.02.10 01:5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종수#버섯

icon관련키워드기사
  • 19금(禁) 버섯 이야기
  • 톨스토이와 프로이드의 그물버섯
  • 버섯으로 지구 다시 살리기(Mycorestoration)
  • 버섯 발견의 기쁨, 그리고 그 유혹
  • 버섯의 치유력
  • 버섯의 다양한 용도(用途)
  • "버섯: 그 천(千)의 얼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둘째
  • 긴급 버섯 정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셋째
  • 화경버섯에서 암 치료약이?
  • 곰보버섯 뒷 이야기
  • 버섯과 지속가능성
  • 버섯의 맛과 냄새에 대하여
  • 개와 독버섯 중독 이야기
  • 송이(松栮) 맛의 화학성분과 그 비밀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첫째
  • 내 고장 버섯들을 알고 계신지요?
  • 집에서도 버섯을 재배할 수 있나요?
  • 지구온난화와 버섯
  • 버섯의 영양가는 어떠한가요?
  • 사람이 버섯을 채취하면 버섯에 해가 되나요?
  • 어떤 버섯이 식용하기에 좋은 것인가요?
  • 채취한 버섯 다루는 방법
  • 광대버섯의 모습
  • 피해야 할 버섯들
  • 언제 어디서 버섯을 만날 수 있을까요?
  • 버섯에 대한 속설 벗겨내기
  • 버섯 채취하러 함께 가실까요?
  • 버섯의 신비에 접하고 나서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둘째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첫째
  • 버섯과 문화
  • 경고: 야생버섯 중독!
  • 버섯의 독(毒)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넷째
  • 버섯의 인내와 저 풍요로움
  • 나무의 친구들: 상생의 아름다움
  • "만일 세상에 버섯이 없었더라면"
  • 버섯의 경이로움
  • 버섯이 보여주는 천 가지 얼굴-그 다섯째
  • 버섯과 함께 농사짓기
  • 연지버섯의 예쁘고 귀여운 모습
  • 목이(木耳)와 반유태주의(Anti-Semitism)
  • 사막에서도 버섯이 돋는다
  • 곰보버섯과 더불어 새 봄이
  • 당신은 과연 버섯광(狂)인지요?
  • 약용버섯 이야기(88): 사마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6): 차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4):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3): 꽃구름버섯 속(屬)
  • 새해를 맞이하며 잔 높이 받쳐 들고
  • 약용버섯 이야기(82): 아까시진흙버섯(임시명)
  • 약용버섯 이야기(81): 마른진흙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9): 개떡버섯(젖색개떡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8): 독청버섯아재비
  • 약용버섯 이야기(77): 배젖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6):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2)
  • 약용버섯 이야기(75):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
  • 약용버섯 이야기(74): 털고무버섯속 Galiella rufa
  • 약용버섯 이야기(73): 기계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2): 조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1): 노란귀느타리
  • 약용버섯 이야기(70): 테옷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9): 혓바늘목이
  • 약용버섯 이야기(68): 구름송편버섯(雲芝)
  • 약용버섯 이야기(64): 민긴뿌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3): 콩꼬투리버섯속
  • 약용버섯 이야기(62): 좀나무싸리버섯
  • 부싯깃으로 사용하는 버섯 이야기
  • 약용버섯 이야기(58): 턱수염버섯과 개능이
  • 약용버섯 이야기(57): 주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6): 해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5): 졸각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4): 황분균
  • 약용버섯 이야기(52): 유산된외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1): 좀밀양산버섯과 갈색쥐눈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0): 두엄흙물버섯(두엄먹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9): 방망이싸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8): 뿔나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7): 기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6): 구멍장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5): 도장버섯, 미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4): 주름찻잔버섯
  • 미국 야생버섯 중독사례에서 배우는 교훈들
  • 약용버섯 이야기(43): 한입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2): 느티만가닥버섯
  • 자갈버섯류는 범죄 과학수사를 위한 법균류학의 선구자?
  • 균환(菌環)과 버섯에 대한 미신(迷信)
  • 약용버섯 이야기(41): 검은잔버섯
  • 자작나무버섯의 식용여부에 대하여
  • 2014년 갑오년을 맞으면서
  • 약용버섯 이야기(40): 콩버섯
  • 피칸 과수원의 숨은 보물: 송로버섯(Truffles)
  • 약용버섯 이야기(39): 갓버섯류
  • 세발버섯의 성장 관찰
  • 약용버섯 이야기(38): 잿빛만가닥버섯
  • 엄청나게 많이 돋는 붉은말뚝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37): 송이(松栮)
  • 2012년 북미 신종 버섯 이야기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