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루궁뎅이 Hericium erinaceum(Bull.) Pers. = H. erinaceus 영어속명 Loin's Mane, Satyr's Beard, 재배형 Pom Poms.
속명(屬名) Hericium이란 라틴어로 "고슴도치"를 뜻한다. 종명(種名) erinaceum 또는 erinaceuse도 유럽의 고슴도치 Erinacius eruropius라는 이름에서 온 것으로 "고슴도치 같은" 또는 "가시가 많은" 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노루궁뎅이의 학명은 이 버섯이 가진 무수한 침을 가리키고 있다. 가을에 활엽수 생목의 상처부위에서, 또는 참나무나 너도밤나무, 단풍나무(maple) 고사목에 돋고 특히 고사목 높은 곳에도 돋는 것이 그 특징이다.
|
노루궁뎅이는 식용버섯으로 그 맛이 썩 좋다. 삶을 때 소금을 약간 치고 삶아서 초장을 찍어먹어도 일품이고, 서양 사람들처럼 버터에 볶아 먹어도 맛이 좋다. 노루궁뎅이는 인공재배가 가능하여 톱밥 재배 등 여러 인공재배 방법이 개발되어 다량으로 생산되고 있어 중국에서는 통조림으로 판매될 정도로 많이 생산된다.
|
|
전통 의학적 사용
중국 전통의학에서 소화 촉진과 위궤양 치료에 노루궁뎅이를 사용하고 또 강장 효과가 있어 신경쇠약증과 전신쇠약에도 효능이 있다고 믿는다. 1990년 11차 아시안 게임 때 여러 종류의 노루궁뎅이속 버섯들의 균사체 달임물을 Houtou(猴頭)라고 하여 운동선수들의 음료수로 마시게 하였다. 그 결과 여러 경기에서 우승하게 된 것이 바로 노루궁뎅이 달임물 때문이었다고 한다. 또 여러 인디언 부족들도 노루궁뎅이 말린 가루를 지참하여 상처 입었을 때 지혈제로 사용한다고 한다.
|
현대 의학적 사용
화학성분:
1. 항종양 다당체 5종 heteroxyloglucan, galactoxyloglucan, glucoxylan-protein, glucoxylan, xylan.
2. HeLa 세포증식 억제 활성성분 erinacine A, B.
3. 신경 성장 인자 유도 합성 촉진 성분 erinacine C,D,E,F,G,H
4. 방향제 erinacerins A, B.
5. 그 밖의 cyathane 유도체, calciferol(비타민 D2), ergosterol 등등
약리작용:
항종양(sarcoma 180/쥐실험), HeLa 세포증식 억제, 항염, 항균, 소화촉진, 위점막보호 기능 증강, 궤양치료 촉진, 면역 증강(이상 박완희, 442쪽; Rogers, 213-214쪽).
|
적응증: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만성위염, 만성위축성위염, 식도암, 분문(噴門)암, 위암, 장암, 소화불량, 신경쇠약, 신체허약(이상 박완희, 442쪽).
그런데 과학자들이 노루궁뎅이에서 아주 흥미로운 erinacine라는 성분을 발견하였는데 이 성분은 카파 오피오이드 수용체 억제제(kappa opioid receptor-binding inhibitor)인데 간질과 뇌졸중뿐만 아니라 뇌와 척추 외상이 있을 때 신경을 보호해 주는 경련 진정제의 효능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치매와 다른 만성 신경/뇌와 관련된 질병의 호전을 가져온다고 한다. 특히 뇌혈관 질병, 퇴행성 지체이상, 파킨슨씨병, 척수뇌변성증, 당뇨병성신경병증, 척수외상, 폐용증후군을 가진 환자들에게 노루궁뎅이는 뇌조직 재생의 강력한 유도인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이상 Rogers, 213-214. 임상 실험 결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있다.).
|
노루궁뎅이 용법, 용량:
1. 소화불량-- 노루궁뎅이 말린 소절편 60g을 물에 달여 하루 두 번 마신다.
2. 신경쇠약, 신체허약-- 150g을 닭과 함께 삶아 하루 1-2번 복용한다.
3. 위궤양--노루궁뎅이 말린 것 30g을 물에 달여 하루 두 번 복용한다(이상 박완희, 442쪽, 참고 Rogers, 215쪽).
한마디로 노루궁뎅이는 각종 암, 위장병, 신경쇠약, 신체허약, 치매 및 신경/뇌와 관련된 질병에 효능이 있는 약용버섯이자 맛 좋은 식용버섯이다. @
|
참고문헌:
Robert Rogers, The Fungal Pharmacy: The Complete Guide to Medicinal Mushrooms and Lichens of North America, Berkeley, Calif.: North Atlantic press, 2011, pp. 210-215.
박완희, 이호득, 한국 약용버섯 도감, 서울: 교학사, 2003(재판), 442쪽.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3.02.10 01:50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종수#버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