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여백
HOME 자닮연재 버섯 이야기
다른 버섯에 기생하는 버섯들야생버섯의 신비(69)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적갈색애주름버섯

 

((적갈색애주름버섯 Mycena haematopus(Fries) Quelet 영어속명은 그 색깔이 붉을 뿐만 아니라 상처를 내면 피를 흘리듯 암혈홍색 액체가 스며 나오기 때문에 Bleeding Mycena라고 부른다.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죽은 활엽수 그루터기 위에 무리지어 돋는다.))

 

1. 적갈색애주름버섯에 기생하는 적갈색애주름곰팡이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적갈색애주름버섯곰팡이

 

적갈색애주름곰팡이의 학명은 Spinellus fusiger(Pin Mold of Mycena). 북미에는 약 250여종의 애주름버섯이 있어서 죽은 나무 그루터기 위에는 물론 숲속 나무 부스러기 위에나 숲속 땅위에 무리지어 많이 돋는다. 그런데 장마철에 오랫동안 비가 내리든가 계속되는 다습한 기후 조건일 경우 애주름버섯 가운데 특히 적갈색애주름버섯 위에 적갈색애주름곰팡이가 피게 된다. 이 기생균은 그 생긴 것이 특이하여 마치 침놓는 아주 미세한 바늘을 수도 없이 많이 꽂아놓은 것 같은 진기한 모습을 보여준다.

 

2. 황토색어리알버섯에 기생하는 기생그물버섯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황토색어리알버섯

 

((황토색어리알버섯 Scleroderma citrinum Persoon 또는 Scleroderma aurantium. 영어속명은 이 버섯의 표면이 거칠고 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Pigskin Poison Puffball, 또는 Common Earthball이라고 부른다.))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기생그물버섯(임시이름)

 

기생그물버섯(임시이름, 한국 미기록종) Boletus parasiticus Bulliard:Fries 또는 Xerocomus parasiticus. 영어속명은 이 버섯이 기생버섯이기 때문에 Parasitic Bolete, 또는 황토색어리알버섯에 기생하기 때문에 Earthball Bolete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황갈색 또는 올리브색이 섞인 갈색이며 표면은 건조하나 습하면 끈적인다. 살 조직은 노란색이고 관공부분도 노란색이다가 차차 올리브색이 섞인 노란색으로 된다. 이 버섯은 그 자체로 독이 없으나 이 버섯이 기생하는 황토색어리알버섯이 독버섯이기 때문에 절대로 입에 대지 말아야 한다. 이 두 버섯의 관계는 정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지만 학명이 보여주는 대로 기생관계일 가능성이 높다.

 

3. 애기버섯에 기생하는 젤리덧부치버섯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애기버섯 위에 돋은 젤리덧부치버섯(임시이름)

 

젤리덧부치버섯(임시이름) Syzygospora mycetophila(Peck) Ginns 다른 학명은 Christiansenia mycetophila. 영어속명 Collybia Jelly 또는 Parasitic Jelly. 엷은 노란색에서 엷은 황갈색을 가진 뇌나 부정형의 혹처럼 생긴 젤리형 버섯이 애기버섯 Collybia dryophila(또는 Gymnopus dryophila. 영어속명 Oak Collybia)의 갓 위에, 또는 주름이나 대에 돋는다. 식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맛은 별로 없다고 한다. 비슷하게 생긴 다른 젤리덧부치버섯이 노란 뽕나무버섯 갓 위에 돋기도 하고, 꾀꼬리버섯 위에도 돋은 것을 발견한 적이 있다.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뽕나무버섯 위에 돋은 젤리덧부치버섯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꾀꼬리버섯 위에 돋은 젤리덧부치버섯

 

4. 그물버섯에 기생하는 황분균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황분균(한국신칭)

 

황분균(한국신칭) Hypomyces chrysospermus Tul. & C. Tul. 영어속명 Golden Hypomyces 또는 Bolete Mold 또는 Bolete Eater. 그물버섯 가운데 특히 Boletus chrysenteron 위에 돋는 기생균으로 세 단계를 거쳐 그물버섯을 감염 시킨다. 첫째 단계는 무성(asexual)단계로 하얀 곰팡이로 그물버섯을 뒤덮고 곰팡이 표면에 무성포자를 생산한다. 둘째 단계에 오면 흰곰팡이는 노란가루 곰팡이균으로 대체되고 이 단계에서도 무성포자를 생산한다. 셋째 단계는 숙주 그물버섯이 완전히 부패해야 도달하게 되는데 오렌지색에서 적갈색의 우툴두툴한 돌기를 발생시키고 그 안에 유성(sexual) 자낭포자를 형성한다. 특별히 비가 많이 오는 여름에 자주 발생한다. 황분균에 감염된 그물버섯은 독성을 품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식용할 수 없다.

 

그물버섯뿐만 아니라 주름우단버섯(Paxillus involutus)에도 발생한다. 특히 젖버섯 또는 무당버섯 위에 기생하는 균은 젖버섯이나 무당버섯의 형체를 변형시키고 밝은 오렌지색이나 주황색으로 변색하게 하여 영어속명으로 Lobster Mushroom이라 부르고 식용하기도 한다.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노란 그물형 점균

 

5. 광대버섯에 기생하는 광대버섯곰팡이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광대버섯곰팡이

 

광대버섯곰팡이의 학명은 Hypomyces hyalinus(Schwein.) Tul. & C. Tul. 영어속명 Amanita Mold. 이 기생균에 감염된 광대버섯은 제대로 자라지 못하고 본래의 모습을 알 수 없게 그 형체를 변형시킨다. 하얗거나 약간 분홍색 섞인 흰색 곰팡이균이다. 식용광대버섯인 붉은점박이광대버섯에 주로 침입하여 발생하지만 다른 맹독 광대버섯류에도 발생함으로 이 곰팡이에 감염된 광대버섯은 위험하기 때문에 절대로 식용하려 해서는 안 된다. 더구나 그 형체가 변형되었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광대버섯인지 잘 알 수 없어서 더욱 위험하다. 오직 붉은 반점이 비치면 그 숙주 광대버섯이 붉은점박이광대버섯이라고 추축할 수 있을 뿐인데 어쨌든 위험함으로 광대버섯과 관련된 그 어느 것도 식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www.jadam.kr 2009-11-14 [ 최종수 ]
그물버섯 위에 돋은 흰곰팡이

 

기생(寄生)이라고 하면 다 아시는 대로 두 생물이 같이 사는 관계(공생 symbiosis)를 맺고 한 생물이 다른 생물을 희생하여 양분을 얻는다는 두 생물의 관계를 일컫는 말이다. 우리는 흔히 기생이라고 하면 한 생물(기생자)이 다른 생물(숙주 宿主)의 생존과 번식에 영향을 주어 다른 생물을 해치거나 죽이기 때문에 나쁜 것이라고 부정적 판단을 내리는 것이 보통이다. 허지만 부정적 관계도 관계는 관계이다. 기생도 부정적이든 긍정적이든 두 생물 사이의 “관계” 또는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일방적으로 부정적인 측면만 볼 수는 없지 않을까 이를테면 기생 관계는 우리 인간들에게 어떤 경고의 가르침을 준다는 점에서 그 경고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응답해야 할 것 같다. 왜냐하면 인간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언제나 기생자로 말미암아 시달려 오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우리를 위협하고 있는 신종 독감이라는 질병도 신종 독감 바이러스라고 하는 미소기생자(microparasite)로 말미암아 발생한 것이다. 그런데 이 독감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로 말미암아 생긴 것이라고 하면 우리 인간 생활 행태들을 새삼 재고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전 세계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밀집한 생활환경, 거기다가 인간이 만들어 낸 지구 기후의 급격한 변화, 그리고 일일 생활권을 자랑삼아 말하는 신속한 대륙간 이동은 신종 기생자의 부정적 관계를 촉진하는 온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기생자-숙주 관계에서 한 가지 희망적인 사실을 보는 것은 둘 사이의 부정적 관계가 진화하여 두 생물 사이의 긍정적 상호관계를 이루면서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상리공생관계(mutualism)로 발전할 수 있고 또 발전해왔다는 점이다. 실제로 기생균류나 기생균 버섯의 개체수에 비교하여 많은 식물들과 긍정적 상리공생관계에 있는 공생균(균근균) 버섯의 개체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상호관계는 그것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한 “관계”임에 틀림없다. 모든 존재는 이 “관계” 안에 있고 이 “관계”를 떠나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더불어 사는 “관계”의 중요성을 잠시도 잊을 수 없을 것이다. @

 

최종수(야생버섯애호가),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09.11.14 20:43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최종수#버섯

icon관련키워드기사
  • 19금(禁) 버섯 이야기
  • 톨스토이와 프로이드의 그물버섯
  • 버섯으로 지구 다시 살리기(Mycorestoration)
  • 버섯 발견의 기쁨, 그리고 그 유혹
  • 버섯의 치유력
  • 버섯의 다양한 용도(用途)
  • "버섯: 그 천(千)의 얼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둘째
  • 긴급 버섯 정보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셋째
  • 화경버섯에서 암 치료약이?
  • 곰보버섯 뒷 이야기
  • 버섯과 지속가능성
  • 버섯의 맛과 냄새에 대하여
  • 개와 독버섯 중독 이야기
  • 송이(松栮) 맛의 화학성분과 그 비밀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첫째
  • 내 고장 버섯들을 알고 계신지요?
  • 집에서도 버섯을 재배할 수 있나요?
  • 지구온난화와 버섯
  • 버섯의 영양가는 어떠한가요?
  • 사람이 버섯을 채취하면 버섯에 해가 되나요?
  • 어떤 버섯이 식용하기에 좋은 것인가요?
  • 채취한 버섯 다루는 방법
  • 광대버섯의 모습
  • 피해야 할 버섯들
  • 언제 어디서 버섯을 만날 수 있을까요?
  • 버섯에 대한 속설 벗겨내기
  • 버섯 채취하러 함께 가실까요?
  • 버섯의 신비에 접하고 나서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둘째
  • 버섯이 그린 미술작품들-그 첫째
  • 버섯과 문화
  • 경고: 야생버섯 중독!
  • 버섯의 독(毒)
  • 버섯이 보여주는 천가지 얼굴-그 넷째
  • 버섯의 인내와 저 풍요로움
  • 나무의 친구들: 상생의 아름다움
  • "만일 세상에 버섯이 없었더라면"
  • 버섯의 경이로움
  • 버섯이 보여주는 천 가지 얼굴-그 다섯째
  • 버섯과 함께 농사짓기
  • 연지버섯의 예쁘고 귀여운 모습
  • 목이(木耳)와 반유태주의(Anti-Semitism)
  • 사막에서도 버섯이 돋는다
  • 곰보버섯과 더불어 새 봄이
  • 당신은 과연 버섯광(狂)인지요?
  • 약용버섯 이야기(88): 사마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6): 차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4): 아까시흰구멍버섯(아까시재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83): 꽃구름버섯 속(屬)
  • 새해를 맞이하며 잔 높이 받쳐 들고
  • 약용버섯 이야기(82): 아까시진흙버섯(임시명)
  • 약용버섯 이야기(81): 마른진흙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9): 개떡버섯(젖색개떡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8): 독청버섯아재비
  • 약용버섯 이야기(77): 배젖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6):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2)
  • 약용버섯 이야기(75): 약용버섯에 대한 근거 없는 신화들
  • 약용버섯 이야기(74): 털고무버섯속 Galiella rufa
  • 약용버섯 이야기(73): 기계충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2): 조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71): 노란귀느타리
  • 약용버섯 이야기(70): 테옷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9): 혓바늘목이
  • 약용버섯 이야기(68): 구름송편버섯(雲芝)
  • 약용버섯 이야기(64): 민긴뿌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63): 콩꼬투리버섯속
  • 약용버섯 이야기(62): 좀나무싸리버섯
  • 부싯깃으로 사용하는 버섯 이야기
  • 약용버섯 이야기(58): 턱수염버섯과 개능이
  • 약용버섯 이야기(57): 주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6): 해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5): 졸각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4): 황분균
  • 약용버섯 이야기(52): 유산된외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1): 좀밀양산버섯과 갈색쥐눈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50): 두엄흙물버섯(두엄먹물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9): 방망이싸리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8): 뿔나팔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7): 기와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6): 구멍장이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5): 도장버섯, 미로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4): 주름찻잔버섯
  • 미국 야생버섯 중독사례에서 배우는 교훈들
  • 약용버섯 이야기(43): 한입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42): 느티만가닥버섯
  • 자갈버섯류는 범죄 과학수사를 위한 법균류학의 선구자?
  • 균환(菌環)과 버섯에 대한 미신(迷信)
  • 약용버섯 이야기(41): 검은잔버섯
  • 자작나무버섯의 식용여부에 대하여
  • 2014년 갑오년을 맞으면서
  • 약용버섯 이야기(40): 콩버섯
  • 피칸 과수원의 숨은 보물: 송로버섯(Truffles)
  • 약용버섯 이야기(39): 갓버섯류
  • 세발버섯의 성장 관찰
  • 약용버섯 이야기(38): 잿빛만가닥버섯
  • 엄청나게 많이 돋는 붉은말뚝버섯
  • 약용버섯 이야기(37): 송이(松栮)
  • 2012년 북미 신종 버섯 이야기
  • [키워드 기사 전체 목록]
    기사 댓글과 답글 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여백
    여백
    여백
    여백
    Back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