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무릎(Achyranthes japonica)은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길가에 흔하며 조금 습한 곳에 서 잘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줄기는 네모지고 단단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줄기 마디는 종종 벌레혹이 되어 도드라지게 부풀어 오른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 |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길가에 흔하며 조금 습한 곳에 서 잘 자란다 |
꽃은 8~9월경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긴 이삭모양의 꽃차례로 달리며 연한 녹색이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각각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겉에 3개의 포가 있다. 열매는 긴 타원형의 포과로서 갈고리 모양의 포가 있어 옷이나 짐승의 털에 잘 달라붙는다.
![]() |
줄기마디는 혹처럼 부풀어 오르며 꽃은 이삭모양의 꽃차례로 핀다 |
어린 순은 데쳐 나물로 무쳐 먹거나 밥 위에 얹어 쪄서 먹는다. 성숙한 것은 뿌리와 같이 적당한 길이로 잘라 설탕과 버무려 효소를 담근다. 뿌리로는 술에 담가 숙성해 마시거나 닭발 또는 도가니와 같이 푹 고아 탕이나 볶음, 묵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백숙에 넣어 끓여 먹어도 된다. 달인물로 식혜나 술을 빚어 먹기도 한다. 술에 쪄서 말린 것을 차처럼 달여 마셔도 좋다.
![]() |
면발 모양의 뿌리를 우슬(牛膝)이라 하여 약재로 이용한다 |
뿌리를 우슬(牛膝)이라 하여 약재로 이용한다. 간(肝)과 신(腎)에 작용해 혈액 순환을 좋게 하고 뼈와 근육을 튼튼하게 한다. 어혈을 풀어 헤치고 하행(下行)시키며 관절을 순조롭게 한다. 생것 그대로 말린 것은 어혈과 종기를 없애는데 더 효과가 있어 생리불순, 산후 어혈에 의한 부종 및 동통, 임병, 혈뇨 등에 쓰며, 술에 쪄서 말린 것은 간과 신(腎)을 보양해서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므로 허리와 무릎이 아픈 데, 관절염, 신경통 등에 주로 이용한다.
![]() |
뿌리로는 술에 담가 숙성해 마시거나 줄기와 같이 효소를 담가도 된다 |
맛은 달고 쓰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동의보감]에서는 “골수를 보충하고 음기를 잘 통하게 하며 머리털이 희지 않게 한다. 무릎이 아파서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것과 노인의 요실금 등을 치료하며, 발기부전(陰痿) 및 허리와 등뼈가 아픈 것을 낫게 한다. 피를 잘 돌게 하고 모든 약 기운을 이끌어 허리와 넓적다리로 내려가게 한다.”고 적고 있다. 그러나 월경을 통하게 하고 유산시키는 효능도 있으므로 월경이 과다한 경우나 임산부는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 |
닭발 또는 도가니와 같이 푹 고아 탕이나 볶음, 묵을 만들어 먹어도 좋다 |
뿌리에는 올레아놀산과 글루쿠론산으로 분해되는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계 사포닌이 들어 있다. 그리고 많은 양의 점액과 칼륨염, 곤충변태 호르몬인 엑디스테론(ecdysterone), 이노코스테론(inokostero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곤충이나 뱀에 물렸을 때 쇠무릎 잎을 짓찧어 바르면 효과가 있다. 곤충변태 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어 친환경 살충제로 활용해도 된다.
![]() |
술에 쪄서 말린 것을 차처럼 달여 마시거나 달인물로 식혜나 술을 빚어 먹기도 한다 |
번식은 씨앗으로 한다. 가을에 씨앗이 익어 떨어지기 전에 털어 바로 뿌리거나 봄에 심는다. 여름에 가지치기를 해주면 뿌리의 발육이 잘 된다.
[쇠무릎 즐기는 법]
1. 어린 순을 데쳐 나물로 무쳐 먹거나 밥 위에 얹어 쪄서 먹는다.
2. 잎과 줄기, 뿌리를 적당한 길이로 잘라 설탕과 버무려 효소를 담근다.
3. 뿌리를 술에 담가 숙성해 마시거나 달인 물로 식혜나 술을 빚어 먹는다.
4. 닭발 또는 도가니와 같이 푹 고아 탕이나 볶음, 묵을 만들어 먹는다.
유걸 기자, 다른기사보기기사등록일시 : 2018.02.15 11:38
<저작권자 © 자닮,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산야초